세상에서 가장 슬픈 100일… 세월호 참사는 현재 진행형

세상에서 가장 슬픈 100일… 세월호 참사는 현재 진행형

입력 2014-07-24 00:00
업데이트 2014-07-24 09: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눈물… 분노… 그래도 희망

우리는 그날, 그곳에 있지 않았다는 이유로 살아남았습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 혹은 자녀, 친구들이 세월호에 타지 않았다는 이유로도 안도할 수 없는 ‘위험 사회’에 살고 있다는 사실 또한 알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공공성은 잊혔고,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으며, 누구도 책임지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2014년 4월 16일을 겪은 대한민국 모두에게 세월호 참사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23일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 실종자들을 애타게 기다리는 별들이 방파제 난간에 떠 있다. 지난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294명이 목숨을 잃고, 10명이 여전히 실종된 상태다.  진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월호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23일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 실종자들을 애타게 기다리는 별들이 방파제 난간에 떠 있다. 지난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294명이 목숨을 잃고, 10명이 여전히 실종된 상태다.
진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재난관리 전문가인 동아대 석당인재학부 이동규(행정학 박사) 교수가 최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트위터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부’ ‘눈물’ ‘분노’ 같은 키워드가 많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교수는 “트위터 이용자들이 세월호 사고를 정부 불신과 연관 짓는다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참사 이후 100일 동안 우리들의 머리와 가슴을 짓누른 분노의 키워드들은 여전합니다. 대통령이 눈물을 흘리며 내놓았던 대책은 ‘공회전’을 하고, 특별법은 국회에서 지지부진합니다. 국민의 분노를 돌리려고 당국이 던져 놓은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은 시체로 돌아왔습니다. 이런 연유로 그날 이후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요즘 들어 부쩍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들은 기억해야만 합니다. 정차웅군, 남윤철·최혜정 교사, 박지영 승무원, 양대홍 사무장 등 세월호의 수많은 의인들과 너무 일찍 꺾여버린 꿈들을. 그리고 대통령의 약속이 이행되는지 끝까지 지켜봐야 합니다. 대한민국이 더 큰 비극을 피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4-07-2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