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김진표, 땅투기의혹·보육교사 공무원화 격돌

남경필-김진표, 땅투기의혹·보육교사 공무원화 격돌

입력 2014-05-30 00:00
업데이트 2014-05-30 0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 “불법농지소유 해소해야”…남 “십수 년 전 해명”남 “野중앙당도 외면”…김 “엄마 행복 정책으로 추진”

경기지사 선거에 나선 새누리당 남경필,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통합진보당 백현종 후보는 29일 경기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한 TV토론회에서 ‘제주도 땅 투기 의혹’과 ‘보육교사 공무원화 공약’ 등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또 평화통일특별도, 굿모닝버스, 물·전기·가스 무상공급 등 상대후보 주요 공약의 허점을 파고들며 공방을 이어갔다.

◇남경필 ‘제주도 땅 불법매입’ 놓고 격돌

백 후보는 “제주도에 불법 땅투기하고 해당 땅을 국가에 기증하겠다고 거짓말을 했다”며 “남 후보는 석고대죄하고 사퇴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 후보도 “공직선거후보자는 도덕성을 검증받아야 한다”며 “남 후보가 유권자의 심판을 받으려면 불법적인 농지소유를 빨리 해소하라”고 공격했다.

이에 남 후보는 “십수 년 전 다 밝혔고 해명했다. 서귀포시에서 기증받지 않겠다고 해 팔려고 내놓았다”며 “(팔리면) 현금으로 헌납하겠다”고 되받았다.

그러자 김 후보는 “(남 후보 땅이) 기부채납 요건에 맞지 않아 서귀포시가 원천적으로 받을 수 없다”며 “땅을 담보로 저당잡힌 얘기도 있는데 처분 의사가 없었던 것 아니냐”고 따졌다.

남 후보는 “처분하려고 내놓았지만 매매가 안 된다”며 “내 동생까지 샅샅이 뒤져 내가 도덕성이 모자라는 듯 보도자료를 냈는데 이런 네거티브야말로 사라져야 한다”고 응수했다.

김 후보 측은 28∼29일 보도자료를 통해 남 후보가 서귀포시 서호동 과수원 3개 필지를 대학생이던 1987년과 국회의원이던 2002년에 매입, 농지개혁법과 농지법을 위반하며 땅 투기를 했고 국가에 해당 땅을 기증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보유한 채 근저당이 설정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남 후보 측은 3개 필지 중 농지법을 위반한 1개 필지를 기부채납할 계획이며 농지개혁법 위반이라고 주장하는 2개 필지는 위법사항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진표 ‘보육교사 공무원화 공약’ 공방

김 후보의 ‘보육교사 공무원화’ 공약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다.

이 공약은 경기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7만여명을 2019년까지 연차별로 사립학교 교원수준으로 공무원화하겠다는 것이다. 전국으로 확대할 경우 남 후보는 8조원, 김 후보는 2조7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된다고 각각 주장, 큰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남 후보는 “처음에 보육교사를 공무원으로 전환하겠다 했다가 시험문제, 연금문제가 불거지니까 사립학교 수준으로 하겠다고 김 후보가 말을 바꿨다”며 “새정치연합 중앙당에서도 정식공약으로 채택하지 않았고 서울시장·인천시장후보도 채택하지 않았다”고 몰아세웠다.

남 후보는 “안전문제 등과 관련해 기술직·전문직 공무원을 먼저 늘려야 하는데 우선순위가 잘못됐다”고도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는 “국가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 봉급을 지원하는데 남 후보의 보육준공영제는 역주행 아닌가”라며 “박근혜 대통령도 유보통합(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육 통합)을 추진해 보육교사의 공무원화가 자동적으로 이뤄지게 된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보육의 질은 국가가 책임져야하고 경기도가 먼저 엄마 행복 정책으로 추진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상대후보 주요공약 허점 공략

남 후보는 북부지역 발전과 관련한 김 후보의 ‘평화통일특별도’ 공약이 매니페스토평가단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깎아내렸다.

남 후보는 본인이 내놓은 평화통일특구법안의 국회 통과가 눈앞에 있으므로 먼저 추진하고 김 후보의 평화통일특별도는 뒤로 미뤄야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 후보는 환승센터에서 2분마다 버스가 서울로 출발하는 남 후보의 ‘굿모닝버스’ 공약에 대해 노선을 늘리고 적자를 보전해 버스회사 사장에게는 굿모닝이지만 승객입장에서는 환승센터 적체로 굿바이버스가 될 수 있다고 평가절하했다.

백 후보의 ‘물·전기·가스 무상공급’ 공약과 관련해 남 후보는 예산 확보의 문제를 제기했고, 김 후보는 무상공급보다 에너지바우처제도 시행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