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빙자 100억대 유사수신업체 대표 등 7명 적발

취업빙자 100억대 유사수신업체 대표 등 7명 적발

입력 2013-09-30 00:00
업데이트 2013-09-30 1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취업을 빙자해 청년 구직자들로부터 거액을 모금해 유사수신행위를 한 혐의(유사수신 행위 규제법 위반 등)로 I사 대표 송모(37)씨를 구속했다고 30일 밝혔다.

경찰은 또 I사 본부장 고모(28)씨 등 6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서울의 한 미인가 업체 I사 대표 송씨 등은 취업사이트에 ‘주 5일제 정규직, 수습기간 3개월 후 4대보험 가입과 연봉 2천만원’이라는 허위 구인광고를 내 지난해 6월부터 수습사원을 모집했다.

이들은 면접 과정에서 선물거래업체인 회사 특성상 기본투자가 원칙이라며 취업 조건으로 1계좌에 500만원씩 1∼4계좌 투자를 강요했다.

수습기간 3개월 후 투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고 안심시켜 사회 초년생인 구직자 693명으로부터 103억원을 모금해 유사수신행위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투자금 규모에 따라 매일 2만∼8만원씩 수당을 지급한다는 약정서를 작성했지만 실제로는 비정기적으로 1만∼3만원씩 지급했다.

경찰 조사결과 I사는 구인 광고 내용과 달리 지난해 6월 회사설립 후 최근까지 취업자로 확인된 사람 중에 4대보험에 가입된 정규직 직원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자는 대부분 30대 미만 청년 구직자들로 면접 과정에서 I사가 소개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I사에 투자금을 건넸다.

대학생 이모(20·여)씨는 안정된 직장을 갖고 어려운 가정 형편을 도울 수 있다는 마음에 부모도 속이고 연이율 27∼39%의 고금리 대출을 받아 I사에 취업했다. 하지만 원금상환은커녕 대출이자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수습기간엔 월급 120만원, 3개월 후 정규직이 되면 월급 150만원과 선물거래 투자수익률에 따른 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말에 현혹돼 피해가 컸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피해자들은 서울의 모 빌딩 2개 층에 1천200여㎡가 넘는 공간을 사무실로 둔 I사의 외형적인 허세에도 속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투자금 상환을 요구하면 문제가 불거지지 않게 돌려주는 수법으로 투자금을 운용했지만 피해액 103억원 가운데 50여억원이 아직 변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취업난이 심각하지만 인터넷 취업사이트의 채용공고를 보고 현혹돼 유사수신업체 등에 투자하지 않도록 잘 살펴봐야 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