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여파 초등생 1년새 16만여명 줄었다

저출산 여파 초등생 1년새 16만여명 줄었다

입력 2013-09-05 00:00
업데이트 2013-09-05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 2013 교육기본 통계

저출산의 여파로 국내 초등학생 수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학생 수 감소와 교원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학급당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 등 교육여건을 나타내는 지표는 오히려 나아졌다.

교육부가 지난 4월 1일 기준으로 조사해 4일 발표한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올해 초·중·고교 학생 수는 652만 9196명으로 지난해보다 24만 1843명(3.6%) 줄었다. 초등학생은 278만 4000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16만 7995명(5.7%) 감소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2.4%, 1.4% 줄어 저학년일수록 감소폭이 컸다. 반면 유치원에 다니는 원아 수는 지난해보다 7.2% 증가한 65만 8188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만 5세 누리과정이 도입, 확대되고 유아교육비 등 정부 지원이 강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3.2명, 중학교 31.7명, 고등학교 31.9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1명, 0.7명, 0.6명 감소했다. 교원 1명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5.3명, 중학교 16.0명, 고등학교 14.2명으로 지난해 보다 각각 1.0명, 0.7명, 0.2명 줄었다. 초·중·고교 교원 수는 43만 6560명으로 2730명(0.6%) 증가했다. 정규 교원은 초등학교에서 1117명(0.6%) 늘었으나, 중학교는 284명(0.3%), 고등학교는 799명(0.7%) 감소했다.

대학, 전문대학 등 433개 고등교육기관 재적 학생 수는 370만 9734명으로 지난해보다 0.5% 감소했다. 여학생 비율은 전체 42.4%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의 전임교원은 8만 6656명으로 전년보다 1746명(2.1%) 증가했다. 이 가운데 대학의 여성교원 수는 2만 18명으로 처음으로 2만명을 넘어섰다. 유치원을 포함한 전체 교원에서 여성의 비율은 68.5%로 1년 전보다 0.6% 포인트 증가했다.

서울대 사회학과 박경숙 교수는“저출산 상황이 이어지는 것은 사회 전반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수치들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저출산 대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09-05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