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턱 괴다가” 턱관절 장애 급증 …절반이 1020

“무심코 턱 괴다가” 턱관절 장애 급증 …절반이 1020

입력 2013-08-25 00:00
업데이트 2013-08-25 15: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턱 괴거나 이 악무는 습관 고쳐야

턱 관절 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절반 정도가 10대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턱 관절 장애로 병원을 찾은 전체 환자는 2008년 20만 4995명에서 2012년 29만 2363명으로 4년 동안 42.6% 늘었다.

 2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턱관절 장애 진료 통계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20대가 8만 89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가 5만 6509명으로 뒤를 이었다. 10~20대 환자가 전체 진료 환자 29만 2363명의 46.7%를 차지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 환자가 남성의 1.5배 수준이었다.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만 5613명, 여성 17만 6750명이었다. 전체 진료비도 2008년 135억에서 2012년 203억으로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치과 김문구 교수는 “청소년기는 스트레스, 예민한 감수성 등 여러 정신적 요인 등으로 턱관절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면서 “턱을 오래 괴고 있거나 긴장할 때 이를 악무는 습관 등을 삼가도록 학부모들이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