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92%, 고교 무상교육보다 내실화 우선” 교총

“교원 92%, 고교 무상교육보다 내실화 우선” 교총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원 60% 전면 무상교육 반대…공교육 개선 더 어려워질 것”

전국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 교원 10명 중 9명은 고교 무상교육보다는 공교육 내실화가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6∼11일 전국 초·중·고·대학 교원 2천260명을 대상으로 ‘고교 무상교육 2017년 전면실시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한 결과 92.1%가 ‘고교 무상교육보다 중도탈락 학생 문제 해결, 학교 시설환경 및 수업환경 개선 등 공교육 내실화부터 우선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박근혜 정부가 2017년부터 전면 무상교육을 시행한다고 밝혔지만, 교원들은 전기료 부담에 냉방기를 못 트는 ‘찜통교실’과 연 7만명에 이르는 학업중단학생 문제 등을 해결하는것이 더 시급하다고 인식한다는 설명이다.

고교 무상교육에 부정적이라는 응답도 60.7%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가장 많은 43.7%가 ‘고교 무상교육 재정 투입으로 공교육 여건 개선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을 꼽았다.

이어 ‘국민 세금 부담을 지나치게 가중시키므로’(28.5%), ‘되레 저소득층 학생에게 돌아가는 다양한 복지재원을 잠식하기 때문에’(16.6%)라는 응답이 나왔다.

응답자의 73.9%는 전면 도입을 하더라도 2017년을 너무 빠르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만 3∼5세 유아 무상교육이 더 먼저 돼야 한다’는 응답이 60.2%로 ‘고교 무상교육이 먼저 돼야 한다’는 응답 15.4%의 4배에 달했다.

각종 무상 교육복지에 재정이 많이 투자되는 것에 대해서는 ‘시급한 의무 공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한정된 교육예산을 고려해 속도를 조절해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54.9%로 과반을 차지했다.

’저소득층에 대한 선별 복지를 더 두텁게 하는 게 바람직하므로 보편적 복지정책은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35.3%가 나왔다.

교총은 “전기료 부담에 냉방조차 제대로 못 하는 열악한 학교 재정이 개학 연기 사태까지 빚는 게 우리 공교육의 현실”이라며 “고교 무상교육보다는 기본적인 학교 수업환경, 시설환경 개선과 중도 탈락학생 대책을 마련하는 등 공교육 살리기에 정책과 재정이 집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