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측, 검찰에 과거 뇌물수사 기록 열람 신청

전두환측, 검찰에 과거 뇌물수사 기록 열람 신청

입력 2013-08-05 00:00
업데이트 2013-08-05 1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씨 자녀 해외 등 소유 부동산 잇단 처분 시도

전두환 전 대통령 측이 지난 1995∼1996년 진행된 전씨의 뇌물수수 사건 수사 기록 일체를 열람할 수 있게 해달라고 검찰에 신청했다.

5일 서울중앙지검에 따르면 전씨 변호를 맡은 정주교 변호사는 이날 ‘12·12 및 5·18 사건 특별수사본부’가 수사한 전씨 뇌물 혐의 관련 기록 일체에 대해 열람 신청을 냈다.

정 변호사가 낸 열람 신청서는 전씨 명의로 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 변호사는 앞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씨가) 대통령 재임 기간에 현대·삼성 등의 총수들에게 돈을 받았지만 이를 민정당 운영비나 대선자금 등 정치 활동비로 썼고, 남은 자금은 수사를 받은 뒤 검찰에 냈다”고 주장했다.

전씨는 당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으로부터 220억원,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에게서 220억원,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에게서 150억원 등 모두 2천205억원의 뇌물을 받아챙겼고 재판에서 전액 추징 선고받았다.

전씨 측은 수사 기록을 분석해 ‘기업들에서 받았던 돈은 다 써버렸거나 추징금으로 냈고,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는 주장의 근거를 댈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전씨 측의 열람 신청서를 검토한 뒤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검찰 관계자는 “줄 수 있는 게 있고 없는 것도 있어서 법리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부터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김형준 부장검사)에 특별수사 경험이 많은 김양수 부부장과 회계분석 요원 2명을 추가 투입했다.

이로써 환수팀은 김형준 부장검사를 포함해 검사 9명과 회계분석 요원 4명, 자금추적 요원 6명, 국세청 등 외부파견 인원 5명을 포함해 모두 45명으로 확대됐다.

이런 가운데 전씨 차남 재용씨가 지난 6월 ‘비엘에셋’ 명의의 서울 이태원 고급 빌라 2채를 급매한 데 이어 다른 형제들도 검찰 조사를 전후해 소유 부동산 처분을 시도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최근 전 전 대통령의 삼남인 재만씨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운영하는 와이너리 회사 ‘다나 에스테이트’ 측이 현지 소재의 한 고급 주택을 매물로 내놓았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현지에서 입수한 한 부동산 재산세 고지서를 살펴보면 이 호화 주택은 다나 에스테이트 소유임이 명백하다”며 “지난 3월14일에 부동산 매매 사이트에 매물로 나왔다”라고 주장했다.

안 의원이 공개한 부동산 매매 사이트 정보에 따르면 해당 주택은 지난 1991년에 지어졌으며 미화 450만달러(50억원 상당)에 매물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은 아직 팔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 측은 매물이 나온 시점이 정치권에서 전씨의 미납추징금 환수를 위해 법안을 발의하는 등 관련 논의가 활발한 시기여서 재만씨가 미리 재산을 처분하려 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전씨의 장남 재국씨도 최근 서울 평창동 부동산을 매물로 내 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재국씨는 2002년 평창동 토지 각 621㎡(187평), 324㎡(98평)를 사들여 지하 2층, 지상 2층 규모의 건물을 세웠다. 이곳에는 전시관인 시공아트스페이스와 한국미술연구소 등이 자리하고 있다.

검찰은 전씨 자녀의 이 같은 부동산 매매 움직임이 재산 추징을 피하려는 시도가 아닌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