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셋 중 둘 “성폭력 피해당할까 불안”

여성 셋 중 둘 “성폭력 피해당할까 불안”

입력 2013-08-02 00:00
업데이트 2013-08-02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반인 68.6% “학교폭력 피해로부터 안전하지 않아”

우리나라 중고교생을 포함해 여성의 3분의 2 이상이 성추행을 비롯해 성폭력 피해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생의 과반은 우리 사회 전반이 안전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집계됐다.

안전행정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4대악 국민안전체감도 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이 조사는 안행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18∼25일 전국 19세 이상 일반 성인 1천명, 학계·법조인 등 전문가 100명, 중고생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해 성인의 30.4%, 중고생의 52.2%, 전문가의 37.0%가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특히 취약계층인 중고생의 안전체감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3∼4월 일반국민 1천1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때에 비하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26.5%에서 소폭 상승했다.

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불량식품 등 4대악 중 가장 먼저 근절돼야 할 분야로는 성인의 49.3%, 전문가의 37.0%, 중고생의 54.9%가 성폭력을 꼽았고, 학교폭력(성인 26.6%, 전문가 26.0%, 중고생 33.4%)이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 보면, 성인의 54.3%, 전문가의 41.0%, 중고생의 52.7%는 성폭력 피해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특히 여성은 성인(505명)의 66.9%, 여중고생(474명)의 67.9%가 성추행 등 성폭력 피해를 볼까 봐 불안하다고 답했다. 20대와 60대 이상은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70%를 웃돌았다.

성폭력 피해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성인의 62.2%와 중·고생의 76.9%는 가해자 처벌과 재범방지 노력이 미약하기 때문이라고 답했고 전문가의 80.5%는 예방교육 부족 및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꼽았다.

가장 우선돼야 할 성폭력 대책으로는 성인의 72.6%와 중고생의 82.4%가 가해자 처벌 및 재범방지 강화를, 전문가의 66%는 성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홍보강화를 지목했다.

학교폭력 피해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의 68.6%, 전문가의 70.0%, 중고생의 56.7%가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학교폭력 피해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당사자인 중고생의 74.9%는 가해자 처벌과 재범방지 노력 미약을 꼽았고, 68.0%는 가정과 학교의 관심부족, 24.5%는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미흡을 지목했다.

가정폭력 피해에 대해서는 일반국민 65.7%, 전문가의 68.0%, 중고생의 55.7%가 안전하다고 응답해 상대적으로 불안감이 적었다.

또 성인의 38.1%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안전 정책이 강화됐다고 생각하는 반면 중·고생의 34.9%는 강화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행부는 앞으로 매달 성인, 분기별 전문가와 중·고생을 상대로 국민안전체감도 조사를 해 6개월마다 월별 조사결과의 평균값과 추세, 목표관리지표 실적 등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응답자들이 꼽은 가장 우선돼야 할 대책이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하고, 국민의 안전체감도가 실제로 높아질 수 있도록 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등 분야별 맞춤형 안전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