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자 절반, 다른 전공 선택하고 싶다”

“대졸자 절반, 다른 전공 선택하고 싶다”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16: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공불일치 대졸자, 일치자보다 대학평점·취업률 낮아

대학 졸업자의 절반은 다시 선택할 기회가 있다면 다른 전공을 하고 싶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공 불일치 대졸자는 전공 일치 대졸자에 비해 졸업 평점이나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한 비율, 임금이 모두 낮았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하 직능원)은 29일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2010년 졸업자 1차 조사자료를 분석해 이런 내용의 ‘대학생의 실제 전공과 희망전공간 불일치 실태와 과제’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원하는 전공을 고려해 대학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4년제 대졸자는 37.9%, 전문대는 45.0%에 그쳤다. 4년제 대졸자의 경우 ‘성적에 맞춰서’(34.8%) 선택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4년제 대졸자의 50.3%, 전문대는 48.8%가 ‘다시 선택할 수 있다면 다른 전공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4년제 대졸자들은 ‘적성에 맞지 않아서’(23.2%) 또는 ‘관심 분야가 바뀌어서’(22.5%)라고 밝혔고, 전문대 졸업자도 같은 이유가 많았다.

4년제 대학의 전공 불일치자는 졸업 평점이 100점 만점에 80.9점으로 전공 일치자의 82.6점보다 낮았다.

이는 노동시장의 성과로도 이어져 취업률이 4년제 대졸자의 경우 전공 일치자는 80.2%, 불일치자는 77.9%로, 2.3%포인트 차이가 났다. 전문대 졸업자는 전공 일치·불일치자간 취업률 격차가 5.0%포인트나 됐다.

대기업, 외국계 기업, 정부기관 등의 정규직인 ‘괜찮은 일자리’를 잡은 비율 역시 4년제 대졸자는 전공 불일치자가 40.6%로 전공 일치자의 44.6%보다 4.0%포인트 낮았다.

월평균 임금도 4년제 대학의 전공 불일치자는 평균 197만원, 전공 일치자는 206만9천원으로 10만원 가량 낮았고, 전문대 졸업자는 20만원 이상 차이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