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주변도 이젠 금연…한국외대앞 금연거리 지정

대학 주변도 이젠 금연…한국외대앞 금연거리 지정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09: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대문구, 외대정문∼외대앞역 9월부터 금연·내년엔 과태료 부과

사회적으로 부는 금연 열풍이 대학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지역 일부 대학 주변이 금연 거리로 지정되고, 금연 거리 지정을 추진하는 대학도 늘고 있어 대학가 금연은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서울 동대문구는 오는 9월부터 한국외국어대 정문 앞에서 1호선 외대앞역까지의 도로변인 휘경로 250m 구간을 금연거리로 지정한다고 29일 밝혔다.

동대문구는 9월부터 넉 달간 홍보·계도 활동을 한 뒤 내년 1월 1일부터 이 구간 흡연자에게 과태료 10만원을 부과할 방침이다.

대학가 거리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북구가 지난 2003년 성신여대 앞 거리 250m를 ‘금연홍보거리’로 지정해 금연 캠페인을 벌인 적은 있지만 지방자치단체가 대학가에서 흡연을 단속하고 과태료까지 부과하는 것은 최초다.

동대문구는 경희대 앞 경희대로 300m 거리도 오는 30일까지 주민 의견을 수렴해 금연거리로 지정할 계획이다.

동대문구청 관계자는 “외대 앞은 유동인구가 3만5천명이지만 보도폭이 2.2∼3.2m에 불과해 담배를 피우면 간접흡연 피해가 크다”며 “지난 22일부터 5일간 주민과 외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과반이 금연거리 지정에 찬성했다”고 말했다.

광진구도 건국대 앞 거리를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진구청 관계자는 “금연거리로 지정하려면 상인과 협의가 필요하고 현장단속 인력구성 등 관리 계획을 새로 짜야 한다”며 “그러나 그 필요성에 공감해 금연거리 지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대학가 주변까지 금연구역으로 확대되면서 논란도 분분하다.

외대 금연거리 조성에 찬성한 김진영(40)씨는 “길이 좁아 이 길을 걷다가 다른 사람의 담뱃재가 옷에 떨어져 구멍이 난 적도 있다”며 “임신부나 아이들도 많이 다니는 길이라 당연히 금연거리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흡연자의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주장도 있다.

외대 3학년 이모(26)씨는 “교내도 금연이라 길거리를 오가며 담배를 피웠다”며 “흡연자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무조건 금연을 강요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주민 김명기(39)씨는 “금연거리로 지정한다고 의견 수렴하는데 어느 주민이 반대하겠느냐”며 “흡연자들은 근처에 아예 살지 말라는 얘기”라고 했다.

동대문구청 관계자는 “금연거리는 비흡연자는 물론 흡연자의 건강도 지키고 배려하는 제도”라며 “주민 대부분이 찬성해 지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