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단체장 비리 실태조사] 체육단체장 1만명… 말뚝회장·후원회장·얌체회장 등 솎아낸다

[체육단체장 비리 실태조사] 체육단체장 1만명… 말뚝회장·후원회장·얌체회장 등 솎아낸다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조금 등 2조원 집행 불구 임의단체로 관리·감독 허술

이른바 ‘회장님’ 소리를 듣는 체육단체장은 전국적으로 1만명에 육박한다. 이들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금 등을 포함해 한 해 2조원 안팎의 돈을 집행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적지 않은 수의 단체는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28일 청와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따르면 국내 체육 조직은 엘리트 체육을 관할하는 대한체육회와 생활 체육을 주도하는 국민생활체육회로 이원화돼 있다. 대한체육회 산하에는 축구와 야구 등 종목별로 70개 가맹경기단체가 있고, 국민생활체육회도 이와 유사한 65개 종목연합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중앙 조직과 동일한 구조로 각 시·도와 시·군·구에는 지방 조직도 갖춰져 있다. 국민생활체육회의 경우 시·도를 단위로 17개 생활체육회와 765개 종목연합회가, 시·군·구에는 229개 생활체육회와 6393개 종목연합회가 각각 구성돼 있다. 대한체육회도 17개 시·도 체육회와 774개 시·도 경기단체, 216개 시·군·구 체육회 등을 거느리고 있다.

아울러 대한장애인체육회 역시 산하 31개 장애인경기단체, 16개 시·도 장애인체육회, 355개 시·도 장애인경기단체, 42개 시·군·구 장애인체육회 등 하부 조직이 꾸려져 있다. 행정 체계에 맞춰 3단계 ‘그물망’ 체육 조직이 전국에 분포돼 있는 것이다.

체육단체장의 임기는 통상 2~4년 등으로 규정돼 있다. 그러나 연임에 대한 별도 제한이 없는 탓에 장기간 집권하는 ‘말뚝 회장’도 숱하다. 지자체에 대한 재정 의존도가 높은 지방에서는 선거 때면 당초 설립 취지에서 벗어나 특정 후보를 물밑 지원하면서 사실상 ‘후원 회장’ 역할을 하는 체육단체장들도 상당수다. 체육단체장 직함을 내세워 개인의 잇속부터 챙기는 ‘부업 회장’, 혜택은 사유화하고 부담은 공유화하는 ‘얌체 회장’ 등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체육단체 대부분은 임의단체다.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자신들이 지원하는 보조금에 대해서만 부분적인 감사권을 행사할 수 있는 탓에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체육단체별로 해마다 누가 어디에 얼마를 쓰는지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는 회계 부정이나 권한 남용, 인사 잡음 등 운영 관련 비리를 유발하는 구조적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생활체육회 소속 7500여개 단체가 정부 지원금 외에 출연금과 후원금 등 자체 수입까지 합해 한 해 동안 지출하는 돈은 2010년 기준 1조 3000억여원으로 추산될 뿐 정확한 통계는 없다. 대한체육회는 지난해 기준 6264억원을 썼지만, 여기에는 시·군·구 단위 체육단체 예산 등이 빠져 있다.

정부 관계자는 “체육단체장 중 일부가 지역 이익이나 단체 이익을 더 중시하는 토호 세력으로 고착화하는 현상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면서 “생활·엘리트 체육이 분리돼 예산 중복 지원 등과 같은 비효율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7-29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