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연구원들 납품편의 대가 수억원 챙겨

질병관리본부 연구원들 납품편의 대가 수억원 챙겨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1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짜 시약 납품받은 뒤 대금 4억9천만원 챙기기도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원들이 시약 납품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거액의 뇌물을 받아 오다 검찰에 적발됐다.

대전지검 특수부는 2일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등 혐의로 A(31·여)씨 등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원 3명을 구속 기소하고 수뢰 액수가 적은 B(49)씨를 뇌물수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뇌물공여) 등으로 C(39·구속)씨 등 납품업체 관계자 4명도 함께 기소했다.

A씨 등 연구원 2명은 2010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C씨가 시약을 납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대가로 각각 1억∼3억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에게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C씨와 짜고 색소를 물에 타 색깔만 같게 만든 가짜 시약을 납품받은 뒤 실제 시약을 납품받은 것처럼 꾸며 대금 4억9천만원이 C씨에게 지급되도록 한 혐의도 적용됐다.

함께 구속 기소된 D(40)씨는 2008년 4월부터 1년 동안 다른 납품업자(44·불구속 기소)로부터 1천300만원의 뇌물을 받는 한편 2010년 9월부터 2년여 동안에는 납품업체 영업사원(37·불구속 기소)과 짜고 납품되지도 않은 시약 대금 4억5천만원이 지급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들 연구원이 허위로 납품된 시약 대금이 지급되도록 해준 것은 자신들이 받은 뇌물을 업자에게 보전해주는 차원이었다고 설명했다.

D씨는 범행 과정에서 노로바이러스 진단 키트를 업체로부터 1개당 42만원에 직접 납품받을 수 있음에도 2009년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자신이 설립한 유령 유통업체를 거쳐 1개당 110만원에 납품되도록 하는 수법으로 차액 1억9천만원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이정호 대전지검 특수부장은 “경쟁입찰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시약을 구매하도록 한 규정을 지킨 것처럼 꾸미기 위해 연구원들은 구매입찰을 요청하면서 사실상 특정업체만이 응찰할 수 있는 조건을 붙였던 것으로 조사됐다”며 “A씨 등은 이렇게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뇌물을 받고 C씨에게서 받은 신용카드로 사치품을 사기도 해 국가 예산이 명품가방으로 둔갑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 부장은 이어 “지난해 4월까지 질병관리본부에는 납품 시약에 대한 검수절차조차 없어 업자가 연구원과 결탁하면 아예 시약을 납품하지 않고도 대금을 교부받을 수 있었고 이후 검수절차가 마련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내용물은 확인하지 않아 가짜 시약 납품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