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수학여행?’…만족도 학생 59%·교사 84%

‘누구를 위한 수학여행?’…만족도 학생 59%·교사 84%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 학교 학생 만족도 40%, ‘프로그램·내용’ 불만 커

경기도 초·중·고교생들의 수학여행 만족 비율이 6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솔교사들의 만족도는 학생보다 무려 20%포인트 이상 높아 대조를 이뤘다.

19일 경기도내 초·중·고교 가운데 40개교(초교 10곳, 중학교 10곳, 고교 20곳)를 무작위 추출해 각 학교가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게시한 지난해 수학여행 만족도 조사결과를 분석했다.

학생들의 만족도는 평균 59.3%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62.3%, 중학생이 57.9%, 고교생이 58.5%였다.

반면 인솔 교사들의 만족도는 초등학교 90.1%, 중학교 85.9%, 고교 79.7% 등 평균 83.9%였다.

학생들을 위한 여행인데 만족도가 교사에 비해 무려 24.6%포인트 낮았다.

학생들은 수학여행 프로그램과 내용에 특히 불만이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안전과 영양, 숙소, 현지 강사 등 순이었다.

일부 학교는 숙소의 침구가 부족해 학생들의 불만을 산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과 비교하면 만족도가 훨씬 높았으나 교사들도 여행의 프로그램과 내용, 식사 등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난해 10월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다녀온 A고교 2학년 학생 500여명은 57%만이 만족한다고 밝힌 반면 인솔교사들은 무려 99.4%가 만족했다.

같은 달 역시 제주도를 다녀온 B중학교 인솔교사들은 92%가 만족한다고 했으나 학생들은 50%에 불과했다.

비슷한 시기 지리산을 다녀온 C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만족도는 44%에 불과했다.

같은 해 9월 경주를 2박3일 일정으로 다녀온 D초등학교 6학년생들도 47%만이 만족감을 표시했으나 인솔교사들은 100% 였다.

일부 학교는 만족한다는 학생들의 응답률이 40%를 밑돌기도 했다.

이같은 낮은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 대해 각 학교가 학습도 좋지만 학생에게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프로그램 위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D초등학교 교감은 “교사들은 하나라도 더 보여주기 위해 이곳저곳을 인솔해 다니고 안전사고를 우려해 통제하다 보니 학생들이 피곤해 하거나 불만을 나타내는 것 같다. 올해는 더 재미있게 프로그램을 만들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