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들어온다던 해변마을 불황에 마을 전체가 경매로

공장 들어온다던 해변마을 불황에 마을 전체가 경매로

입력 2013-02-08 00:00
업데이트 2013-02-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고성 세포마을의 울분

“오도 갈 데가 없게 됐는데 무슨 설을 쇨 생각을 합니까.”

경남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바닷가에 있는 한적한 세포마을. 설을 앞두고 7일 찾아간 세포마을은 즐거운 설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적막하기만 했다.

이미지 확대
16가구 30여명의 마을 주민들은 멀리 떠난 자식들을 오랜만에 맞을 기쁨 대신 걱정과 한숨으로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다. 마을이 통째로 경매에 들어가는 날벼락을 당했기 때문이다. 마을 입구의 공동쉼터인 컨테이너 안에는 10여명이 모여 앉아 경매 걱정만 하고 있었다. 이날은 창원지법 통영지원에서 첫 경매가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경매가 한달 뒤로 연기돼 잠깐이나마 가슴을 쓸어내릴 수 있었다.

컨테이너 안에서 만난 주민 이모(65·여)씨는 “주민들이 설 준비를 할 마음이 아니다”면서 “당장 갈 집도 없는 상태에서 마을 땅이 낙찰되면 길거리로 쫓겨나야 하는 것은 아닌지 주민들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다른 주민 이모(53)씨는 “조상 대대로 지키고 살던 평온했던 마을이 이렇게 시끄럽게 된 데는 조선경기가 좋다고 공장을 마구 지을 수 있도록 허가한 행정기관 잘못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평온했던 이 해변 마을이 이렇게 뒤숭숭해진 것은 조선산업 불황 탓이다. 조선경기가 한창이던 2008년 고성군 바닷가 마을 곳곳에는 조선소가 들어섰다. 동해중공업이 이 마을에 조선기자재 공장을 지으려고 주민들로부터 집과 논밭 등 마을을 모두 사들였다. 마을 주민들은 당시 땅과 건물 등에 대해 보상을 받은 뒤 이주단지로 옮길 때 이주비로 가구당 1억 1800만원을 받기로 하고 회사 측에 소유권을 넘겨 줬다.

그러나 조선경기가 불황으로 돌아서는 바람에 회사는 자금난에 몰려 공장 건립을 중단했다. 최근 회사 쪽 개인 채권자 1명이 소유권이 동해중공업 명의인 세포마을 땅 76건, 7만 835㎡에 대해 경매 신청을 했다. 주민들은 당장 갈 곳도 없다. 회사 측이 마을 인근에 조성해 주기로 했던 이주단지가 있으나 이것도 압류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주비(16가구 19억여원)도 아직 받지 못했다.

동해중공업 조현정(42) 부장은 “주민들이 옮겨 갈 이주단지 압류를 해결하고 주민들에게 이주비를 지급하는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주민들에게는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마을 경매 물건이 개별적으로 낙찰되면 이주와 이주비 지급 등의 문제로 사태가 꼬일 수 있어 채권자 측과 합의해 물건 전체를 한 건으로 묶어 입찰 변경을 했다고 밝혔다.

고성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3-02-08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