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이 서글픈 사람들 2제] 방 한 칸 없는 떠돌이들 “찜방은 마지막 안식처”

[설날이 서글픈 사람들 2제] 방 한 칸 없는 떠돌이들 “찜방은 마지막 안식처”

입력 2013-02-08 00:00
업데이트 2013-02-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찜질방 장기 투숙자들

많은 사람이 명절이면 마음의 안식을 찾아 이동한다. 주차장으로 변한 도로를 고생스럽게 달려 그리운 고향을 찾는 것은 미우나 고우나 가족 때문이다. 하지만 도심 속 찜질방에서 설을 맞는 이들도 있다. 몸도 마음도 찜질방 만한 안식처를 찾기 어려운 이들을 만나 봤다.

7일 서울 성북구의 한 찜질방. 지난해 7월 출소한 김모(47)씨는 한쪽에 마련된 어두운 영화관에 우두커니 앉아 있었다. 평생의 절반이 넘는 25년을 교도소에서 보낸 김씨는 출소하는 날 18년 만에 가족을 봤다. 김씨는 “젊어서 나쁜 일은 한 번씩 다해봤다”면서 “그렇게 살고 나니 이젠 가족을 볼 면목이 없었다”고 말했다. 출소 후 갱생보호시설을 전전하다 이곳에 흘러들었다. 그는 “정부에서 보조금을 주기는 하지만 그럴려면 집도, 직업도 없어야 한다”면서 “보조금을 타내려고 찜질방 등에 머무는 이들이 많은데 그러다 다시 범죄의 길로 빠져드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밝혔다. 밤이면 일수를 걷으러 다닌다는 김씨는 ‘장기투숙자 우대 가격’으로 매일 6000원의 찜질방비를 내며 지내고 있다.

김씨와 비슷한 처지의 장기투숙자는 이곳만 30여 명. 이모(38)씨는 1999년 한 방송사 가요제에서 대상을 받은 가수다. 앨범을 내느라 큰돈을 들였지만 일은 잘 풀리지 않았다. 지금은 찜질방에서 숙식을 해결하면서 전국의 밤무대를 떠돌고 있다. 오후 10시쯤 찜질방을 나서 다음날 오전 6~7시까지 노래를 부른다. 시원찮을 때도 월 200만원은 벌지만, 신용불량자인 터라 매달 120만~150만원을 빚 갚아야 한다. 이번 설에도 ‘행사를 뛰느라’ 가족은 찾지 못한다. 이씨는 “찜질방 노래자랑에서 1등을 해 한 달 무료 이용 쿠폰을 받은 적도 있다”며 씁쓸히 웃었다.

습관처럼 스마트폰만 쳐다보는 최모(32)씨는 전직 경찰이다. 지방에서 올라와 친척집에 머물면서 경찰 생활을 했지만 조직 생활이 맞지 않았다. 심부전증까지 앓게 돼 경찰을 그만두고 지금은 한 방송사의 청원경찰 일을 하고 있다. 눈칫밥을 먹기 싫어 친척집은 뛰쳐나왔다. 최씨는 “6년 사귄 여자친구가 근처에 살아 겸사겸사 찜질방에서 지낸다”면서 “수입은 적지만 맘 편한 게 제일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세상만사가 어지럽게 뒤섞인듯한 찜질방이지만 허모(62)씨에게는 집과 같다. 허씨는 1년 전 만 해도 목수였다. 처가와의 마찰로 가족과 별거를 시작하며 이곳에 왔다. 지금은 인력 사무소에 나가 하루하루 일감을 구해 근근이 산다. 새벽녘 인력사무소를 찾아 떠날 때면 비슷한 처지의 노인 10여명이 무료 배식소를 찾아 찜질방 밖으로 나서는 것을 본다. 허씨가 생각하는 찜질방은 이렇다.

“별거 뒤 월세로 혼자 살았는데 쓸쓸해서 못 견디겠더라고요. 오래 있다 보니 참 이곳 사람들이 더 가족 같네요.”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2-08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