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해진 제트기류에 다시 찾아온 ‘북극 한파’

약해진 제트기류에 다시 찾아온 ‘북극 한파’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찬 공기 한반도로 끌어내려…북극 고온현상이 원인

설 연휴를 하루 앞둔 8일 아침 서울의 수은주가 영하 17도까지 떨어져 이번 겨울 들어 가장 강력한 한파가 몰려올 것으로 예고됐다.

이미지 확대
중부지방에 한파특보가 발효된 7일 오전 시민이 서울 광화문사거리에서 길을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중부지방에 한파특보가 발효된 7일 오전 시민이 서울 광화문사거리에서 길을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안 주춤한 강추위가 다시 찾아온 이유는 북반구의 기압 배치가 한기를 우리나라로 끌어내리는 데 좋은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8일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영하 17도, 문산ㆍ철원 영하 22도, 춘천ㆍ충주 영하 19도 등으로 예상된다.

서울의 경우 영하 16.4도로 이번 겨울 들어 가장 추웠던 지난달 3일보다 더 강력한 한파가 몰려올 전망이다.

이번 추위의 직접적 원인은 시베리아에 중심을 둔 대륙고기압이 한반도를 향해 강하게 확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륙고기압은 겨울철 내내 주기적으로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지만 전날 오후부터 우리나라에 유달리 강하게 찬 공기를 내뿜고 있다.

이런 현상은 북극 둘레를 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불면서 한기의 남하를 막아주는 제트기류가 힘을 잃은 탓이 크다.

고도 9㎞ 부근의 이날 일기도를 보면 제트기류가 몽골에서 우리나라를 향해 대각선으로 구부러져 흐르고 있다. 불과 이틀 전인 5일까지만 해도 제트기류는 만주 지방을 가로지르며 찬 공기를 막아줬다.

제트기류의 속도가 느려지고 우리나라 쪽으로 굽어 불면서 시베리아 지역의 찬 공기가 그만큼 내려온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러시아 연해주 지역만큼이나 추워졌다.

지난 5일 오전 9시 서울의 기온은 영하 2.3도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영하 14.4도)보다 10도 이상 높았다. 그러나 이날 오전 9시 기온은 각각 영하 12.4도, 영하 14.5도로 엇비슷했다. 평양은 영하 14.8도로 연해주보다 더 추웠다.

제트기류가 약해진 원인으로는 지난해부터 계속된 북극의 고온 현상이 지목된다.

북극의 기온이 높아지면 중위도 지역과 기압 차이가 줄어 제트기류 역시 그만큼 약해진다.

우리나라의 혹한은 우랄산맥 근처에 키가 큰 고기압이 자리잡으면서 북극의 한기가 시베리아 고기압에 공급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된 탓도 있다.

김백민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현재도 북극의 기온이 평년보다 낮고 해빙 역시 예년만큼 회복되지 않은 상태”라며 “북극의 고온 현상이라는 계절적 요인이 있는데다 우랄산맥 근처의 고기압이 강약을 반복하면서 한파가 찾아오고 있다”고 말했다.

북반구의 대기 흐름을 고려하면 이번 추위는 설 연휴 내내 이어지다가 다음주 초ㆍ중반에나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

장현식 기상청 통보관은 “제트기류가 우리나라로 한기를 끌어들이는 현상이 11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