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된 서울도서관…시민의식 ‘실종’

놀이터 된 서울도서관…시민의식 ‘실종’

입력 2013-01-16 00:00
수정 2013-01-16 0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부 이용객 무질서…공간부족 겹쳐 불편

옛 서울시청사 건물을 리모델링해 개관한 지 약 3개월 된 서울도서관이 일부 이용객의 무질서와 좁은 공간으로 연일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보육 사이트 등에는 “서울도서관에 갔는데 일부 아이들이 뛰어다니고 소리를 질러 너무 시끄러웠다”, “책을 제자리에 놓지 않는 것은 물론 찢어가기까지 하더라”는 글과 사진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지난 15일 오후 기자가 방문한 서울도서관은 실제로 도서관이라기보다는 놀이터에 가까웠다.

계단을 쿵쿵 뛰어다니는 아이들, 그림책을 꺼내 큰 소리로 아이에게 읽어주는 엄마, 책을 10권 넘게 쌓아놓고 읽다 자리에 내팽개치고 가버리는 아이들까지. 나무바닥인 탓에 소음은 도서관 전체에 울려 퍼졌다.

조용히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러 온 시민들은 눈살을 찌푸렸지만 그들을 제재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가끔 사서가 “조용히 하지 않으면 내보낼 수도 있다”고 엄포를 놨지만 다시 무질서해지는 데는 10초도 걸리지 않았다.

천장 등 곳곳에 붙은 ‘쉿! 조용히, 사뿐사뿐’, ‘떠드는 사람, 뛰는 사람 퇴장’, ‘읽은 책은 제자리에, 제발 부탁합니다’ 등 알림판도 소용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동네에 없는 책을 찾으러 왔다는 대학원생 김상희(26ㆍ여)씨는 “1층이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것을 고려해도 너무 시끄러워 불편을 겪는다”며 “3·4층은 한산한데 1·2층이 특히 붐비니 2층에서 빌린 책을 3·4층에서도 볼 수 있게 해 이용객을 분산시키면 좋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사서와 자원봉사자들은 그들대로 한숨을 쉬었다. 눈코 뜰 새 없이 어질러지는 책들을 정리하느라 아예 아이들 앞을 지키고 서있던 한 사서는 “스케이트장이 생긴 이후로 더 시끄러워졌다. 일부 시민은 이곳을 ‘책 읽는 공간’이라기보다 ‘쉼터’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주말에는 더 붐비는데 한 아이가 발 디딜 틈 없이 사람으로 꽉 찬 통로를 뛰어다니다 계단에서 구른 위험천만한 순간도 있었다”고 전했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26일 개관한 이래 이달 6일까지 도서 대출자는 모두 3만2천624명, 하루 평균 793명이 책을 빌려갔다. 6곳에 나뉜 자료실에 출입한 사람은 모두 109만1천277명, 하루 평균 1만4천779명이다.

이처럼 도서관을 찾는 사람은 점점 늘고 있지만 그만큼 무질서 행위도 늘어 즐거운 마음으로 도서관을 찾기보다 어쩔 수 없이 온다는 시민도 늘고 있다.

실종된 시민의식과 더불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저층에만 이용객들이 밀집한 점, 대출 도서 상위 100권 가운데 90% 이상이 아동도서로 주 이용객이 일부 연령층으로 굳어지고 있다는 점 등도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이용훈 서울도서관장은 “기존 도서관은 어린이실을 따로 분리했지만 여기는 함께 어우러져 독서하는 분위기라 그런 것 같다”며 “우리도 고민이 많은데 서로 배려하는 도서관 문화가 형성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봉사크루단, 5월 어린이날 맞이 강서구 지온보육원 미용·사진 봉사활동

서울시의회 송경택 의원이 함께하는 봉사크루단이 지난 15일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을 찾아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씩씩하게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 5월 어린이날 맞이 머리 미용과 생애 첫 여권 사진을 선물했다. 올해 들어 세 번째를 맞은 이번 봉사활동에서는 아이들 머리를 깎아주는 데서 시작해 단정한 모습으로 여권 사진을 찍고 인화까지 해서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머리 미용은 여느 때처럼 재능기부로 우호림 원장을 비롯해 박별이, 이예지, 임미경, 최연호, 지안, 강리나, 조예원, 김하경 헤어디자이너가 맡았다. 사진 촬영은 리브리에 스튜디오 소속 정고은, 오유미, 김효빈 포토그래퍼가 진행해 줬다. 봉사크루단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우호림 원장은 “아이들을 도우며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봉사활동을 꾸준히 계속하고 싶다”면서 “횟수가 거듭되면서 어떤 프로그램으로 아이들을 만날지 고민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어린이날도 다가와 아이들이 오래 기억할 만한 선물로 생애 첫 여권 사진을 준비해 봤다”고 말했다. 한편, 지온보육원은 서울시 강서구 개화동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배워야 산다, 도와야 일어난다, 믿어야 넘어지지 않는다”는 원훈 아래 임직원
thumbnail - 봉사크루단, 5월 어린이날 맞이 강서구 지온보육원 미용·사진 봉사활동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