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캐려면 마음이 흐르는 물처럼 맑아야”

“약초 캐려면 마음이 흐르는 물처럼 맑아야”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약초박사’ 최원길씨 별난 인생

약초(藥草)란 말 그대로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을 말한다. 따라서 누구나 한번쯤은 관심을 갖거나 눈여겨보게 마련이다. 하지만 재배가 아닌 야생 약초를 쉽게 접하기는 간단치 않다.
이미지 확대
충북의 한 산에서 산삼을 캐는 최원길씨.
충북의 한 산에서 산삼을 캐는 최원길씨.


그러니까 10년 전이다. 충남 보령에서 식당업을 하던 최원길(58)씨는 이런 생약초를 직접 만나고 싶어 무작정 산행을 하기 시작했다. 그저 산에서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가 궁금했을 뿐이다. 이후 그는 경기, 강원, 충청 등 전국의 산을 대책 없이 떠돌아다녔다.

처음에는 매우 힘들었다. 어느 산에 무슨 약초가 있는지도 모르고 새벽에 떠나 다음 날 새벽에 돌아오는 일이 허다했다. 여름에는 무더위, 모기, 벌, 뱀 등과 사투를 벌이는 일도 많았다. 그런 일을 겪으면서도 뜻을 굽히지 않았다. 야생에서 백하수오와 천마, 토산마, 청머루 등을 만나면서 기쁨을 느끼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산삼을 여러 뿌리 캐는 행운도 뒤따랐다. 이제는 약초와 만나는 것이 삶의 유일한 취미이자 즐거움이 됐다.

“일주일에 4, 5일은 산에서 지내지요. 하루만 산에 안 가도 몸이 근질근질합니다. 캐 온 약초는 어디에다 쓰느냐구요? 모두 술 담갔지요. 그게 보관하는 데 제일 좋은 것 같아요.”

대개의 경우 어렵게 캔 약초를 주위 환자나 아니면 시장에 내다 팔 법도 한데 최씨는 모두 술을 담갔다. 여러 번 물었더니 그냥 취미생활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보령시 동대동에 있는 전시장에 들어가 봤다. ‘세상에 이런 일이’라는 탄성이 절로 나올 만도 했다. 100년생 가까이 돼 보이는 산삼을 비롯해 백하수오, 봉삼, 진삼, 산도라지, 창출, 야관문, 잔대, 죽순, 우술뿌리, 왕벌집, 야생복숭아, 독배 등 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유명 생약초들이 크고 작은 병속에 고스란히 잠겨 있었다. 이렇게 보관된 술병만 1500병은 족히 넘는다. 전국 어디에도 이 같은 규모의 전시장은 없을 듯싶다. 최씨 자신도 “이만한 곳은 없다.”며 웃는다.

그렇게 좋다던 산삼과 백하수오 등 약초가 잔뜩 있는데 판매를 권하는 사람들은 없었을까. 최씨는 단호하게 “좋아서 하는 일을 돈과 거래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한다. 그래서일까. 주위에서 는 최씨를 ‘약초박사’로 부른다. 지난해 부인이 뇌출혈로 쓰러졌을 때 산에 가서 약초를 캐와 정상으로 되돌린 사연은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

“북향의 약초는 음지에서 자랍니다. 또 약초를 캐려면 마음이 흐르는 물처럼 맑아야 합니다. 경건해야지요.”

알듯 모를 듯한 말(?)을 하는 최씨에게 앞으로의 꿈을 물었더니 약초와 함께하는 것이라며 웃는다.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7-2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