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 一妻多夫 성문화가 유전자변화 유발”

“침팬지 一妻多夫 성문화가 유전자변화 유발”

입력 2011-04-29 00:00
업데이트 2011-04-2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간-침팬지 진화 차이 왜?

인간과 침팬지는 500만년 전에 같은 조상에서 갈라졌다는 것이 분자생물학자들의 주장이다. 인간과 침팬지는 30억개의 유전자 가운데 겨우 1%만 다를 뿐이지만 인간은 침팬지와 비교할 수 없는 뛰어난 능력을 갖췄다. 그렇다면 무엇이 인간과 침팬지를 이렇게 다르게 만들었을까.

이미지 확대


‘일처다부’(一妻多夫)사회에서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생식 본능이 침팬지와 인간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화시켰다는 근거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 제시됐다. 문화인류학에서 또 하나의 흥미로운 가설이 제시된 셈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 연구팀이 최근 발표한 ‘인간과 침팬지의 정자 생성·기능에 대한 유전자 비교분석’ 논문에 따르면 침팬지의 일처다부 성문화가 인간과는 다르게 유전자의 변화를 유발해 진화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전체 전문 학술지 ‘기능 통합 유전학’ 4월 1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팀은 유전자의 99%가 일치하는 인간과 침팬지를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가 생리적 활동이라는 사실에 주목, 침팬지 수컷의 정소에서 1933종의 유전자 정보를 발굴해 인간과 비교했다. 그 결과 정자의 생성과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 78개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39개에서 인간과는 다른 유전자 구조와 정보가 확인됐다. 특히 정자의 숫자, 운동속도, 지구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침팬지의 3개 유전자에서 특이한 구조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정자의 유전자 차이가 침팬지의 생리적 특성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했다. 즉,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생식본능이 월등한 생식능력을 만들었고, 이것이 결국 인간과 침팬지를 구별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됐다는 것이다.

대부분 ‘일부일처’의 사회구조를 가진 인간과 달리 침팬지는 한 마리의 암컷을 두고 ‘보스(BOSS)’를 중심으로 서열화된 ‘일처다부’의 성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실제 생리학적으로도 침팬지가 인간에 비해 정소의 크기와 방출되는 정자의 양, 정자의 운동 속도 등에서 우수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인간과 침팬지의 이 같은 성문화의 차이가 생식 유전자에 변화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인간과 침팬지의 생태와 기능적 차이를 만드는 데 결정적으로 공헌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4-29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