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해을’ 참여당 요구 왜 수용했을까

민주당, ‘김해을’ 참여당 요구 왜 수용했을까

입력 2011-04-06 00:00
업데이트 2011-04-06 17: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7 김해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후보 등록일을 6일 앞두고 민주당이 국민참여당이 고집해 온 100% 여론조사 경선을 전격 수용한 배경은 무엇일까.

김해을 선거구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자 그가 귀향했다가 서거해 잠든 곳으로 야당으로서는 정치적 상징성이 큰 곳이다.

특히 김해는 김맹곤 시장이 경남의 기초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민주당 간판을 달고 당선됐고 야당이 한나라당보다 훨씬 많은 광역 및 기초의원을 배출한 ‘노풍(盧風)’의 진원이기도 하다.

때문에 이곳에서 야권이 각자 후보를 내세워 보궐선거를 치를 경우 당장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야권 연대의 기본 틀이 깨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당 안팎에서 제기됐다.

민주당 소속 한 경남도의원은 “우리 후보만으로 선거를 강행할 수 있었지만 김해에서 후보 단일화를 이뤄내지 못한 채 선거를 치르는 것은 실리보다 더 큰 정치적인 명분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이 작용했다”고 밝혔다.

선대위의 한 관계자는 “한나라당과 1 대 1 대결 구도를 만들어야 승산이 있다는 자체 계산도 깔려 있다”고 말했다.

과거 재보궐선거 특성상 20~30%에 불과한 낮은 투표율이 후보 단일화를 이뤄내지 못한 야권에 결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이 그 배경이다.

민주당의 모 김해시의원은 “100% 여론조사 경선을 하면 우리 쪽 후보가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는 당원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후보가 어렵게 결단했다”며 “어떻게 보면 국민참여당이 경선 방식 기싸움에서는 억지가 통한 것”이라고 말했다.

’벼랑 끝 대치’로 민주당의 수용을 받아낸 국민참여당은 “합리적이고 공정한 경선방법이 도출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혀 향후 여론조사 경선방법에 대한 전략도 염두에 두고 있음을 내비쳤다.

실제 참여당은 앞서 민주당과의 여론조사 경선 방식에서도 당명을 넣을지 여부를 놓고도 자당 이봉수 후보의 이름만을 고집하며 양보 없이 옥신각신했었다.

이처럼 양 당의 후보 단일화가 무산될 위기에서 막판 해법찾기를 위한 극적인 상황 반전의 중심에는 참여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노무현재단 문재인 이사장이 있었다.

문 이사장은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지난 3일 중앙당 차원에서도 후보 단일화가 경선방식(유권자 현장투표와 여론조사 각 50% 반영)을 놓고 대치상태가 계속되고 지난 5일 지역 차원에서도 양 당이 협의에 불참하거나 국민참여경선제 수용을 끝까지 거부하는 등 사실상 야권 후보 단일화가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적극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이사장은 6일 민주당 곽진업 후보와 함께 김해시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양 당간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것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며 “먼저 곽 후보에게 통 큰 결단을 요구했고 곽 후보가 통 크게 받아들여줘 이뤄졌다”며 밝혀 막판 후보 단일화를 위한 자신의 역할을 소개했다.

문 이사장은 또 “여론조사 방식은 참여당에 유리하고 민주당이 불리할 수도 있지만 곽 후보가 불리한 상황을 받아들이면서 후보 단일화에 나선 것은 노무현 정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론조사 경선 협상에서도 양당이 의견차이로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진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때는 정말 혼을 내 달라.국민들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며 야권후보 단일화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