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채만한 쓰나미 볼 때마다 푸껫서 쓸려 간 동생 생각나”

“집채만한 쓰나미 볼 때마다 푸껫서 쓸려 간 동생 생각나”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지진에 가슴앓이 하는 ‘지진참사’ 유족들

일본 동북부의 땅이 갈라지고 바다가 솟구쳤던 지난 11일. 한 50대 남성이 텔레비전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2005년 태국 푸껫 지진해일 참사 때 막내 동생을 잃은 가수 고영준(53)씨였다. ‘알뜰한 당신’ ‘황성옛터’를 부른 원로가수 고(故) 고복수·황금심 부부의 장남인 그는 애꿎은 담배만 거푸 피워댔다. 잘 마시지도 못하는 술 생각이 간절했다. 그렇게 새벽 5시까지 소주 4병을 비웠다. 술에 만취해 아무리 게워 내도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동생의 마지막 얼굴이 가슴까지 차올라 사라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겪어 보지 않은 사람은 몰라. 그 막막함과 애끓는 심정을….”

그가 혼잣말로 나직이 곱씹었다. 산더미 같은 검은 물살이 너무 무섭다고 했다. 그 속에 누군가가 휩쓸려 가는 건 아닌지, 동생의 모습이 자꾸 겹쳐 보인단다. “사는 게 사는 게 아니었다.”고 그는 지난날을 회상했다.

이번 일본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지진해일은 이렇게 ‘지진 참사’ 유족들에겐 더 큰 아픔이 되고 있다. 아비규환인 참사 현장이 화면에 잡힐 때마다, 살려 달라고 외치는 부상자들이 보일 때마다 가족들의 모습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당시 영준씨는 함께 살던 이모님 두분과 아내를 연이어 잃고, 장인과 어머니까지 타계한 상태에서 동생까지 세상을 뜬 터라 상처가 더했다. 숨을 쉬어도 쉰 것 같지 않았고, 눈을 떠도 보이지 않는 절망의 나날이 지속됐다.

그는 “그 유명한 영화 ‘해운대’도 못 보겠더라. 그 물살이 얼마나 소름 끼치는지….”라면서 “우연히 뉴스로 일본 지진 장면을 보고 며칠간 잠을 못 이뤘다.”고 말했다. 그가 한달이나 찾아 헤매던 동생은 아버지 기일 하루 전날에야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어떻게 버텼느냐.”는 물음에 그는 “음악 없었으면 벌써 죽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잘 아는 작곡가가 동생을 위해 지어 줬다는 자신의 노래 ‘눈물 젖은 빵’ 한 소절을 불렀다. “진흙탕에 뒹굴고 가시밭길 걸어 보고…쓰라린 사연 하나 가슴에 없으면서 어찌 인생을 안다 하겠니.” 그는 가사가 자신과 닮았다며 쓸쓸히 전화를 끊었다.

지난달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아들을 잃은 유상철(57)씨도 이번 일본 지진 참사에 가슴 시리기는 마찬가지. 주뉴질랜드대사관에 따르면 유씨는 언론과의 접촉도 마다하고 현지에서 아직 찾지 못한 딸의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우석동 뉴질랜드 영사는 “일본 소식을 듣고 안타까워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모두 무사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더라.”면서 “자녀 생각이 나는지 홀로 밖에 나가 오열하는데 주변에서 안쓰러워 어쩔 줄 몰라 한다.”고 전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1-03-15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