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시행 4년… 사정관들이 말하는 문제점

입학사정관제 시행 4년… 사정관들이 말하는 문제점

입력 2011-03-12 00:00
업데이트 2011-03-12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① 변칙적 제도 운용 ② 지속성 의문 ③ 부실한 홍보

“MB 정부의 대표적 교육 성과이자 지금은 대입 정책의 핵심 전형으로 자리 잡아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10~11일 제주도에서 열린 ‘2011 대학입학사정관제 사례 발표 워크숍’에서 시행 4년을 맞은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해 내놓은 자평이다.

그렇다면 현장에서 활동하는 입학사정관들은 장관이 이처럼 후하게 평가한 입학사정관제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장관의 평가와 달리 대학 교수들로 구성된 입학사정관들은 ‘일부 대학의 제도 왜곡과 하나 마나 한 징계’, ‘사정관제의 지속 여부에 대한 불신’, ‘제도 관련 정보 부재’ 등을 거론하며 “지금 상태로는 결코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내놨다. 이번 워크숍에는 국내 60개 대학 400여명의 입학사정관이 참석했다.

사정관들은 먼저 일부 대학의 변칙적인 제도 운용을 비판했다. 서울 A사립대 김모 사정관은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공정성보다 중요한 건 없다. 사정관들이 아무리 애써 학생을 선발한들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토익 점수나 출신학교를 보고 학생을 뽑는다고 생각한다면 이 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일부 대학들이 앞장서 제도 파괴를 주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전날 서울대와 고려대, 카이스트 등 주요 대학이 지난해 입시에서 규정을 어기고 학생의 토익 점수를 제출받는 등 제멋대로 제도를 운영하다 국고지원금까지 토해낸 사실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원금 몇천만원 회수로 끝낼 일이 아니다. 정부 차원에서 더 강력한 제재를 통해 확고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면서 “대학 자율을 빌미로 느슨하게 대처하면 결국 입학사정관제가 금지된 3불(不)을 허용하는 ‘구멍’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정관제의 지속성에 대해서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지방의 B사립대 정모 사정관은 “정권만 바뀌면 교육제도가 뒤집히는 사태를 오랫동안 지켜봤다. 장관 임기도 얼마 안 남았는데 당장 지원금 몇 푼 보고 덜컥 사람만 더 뽑아 정규직에 앉혔다가 엉뚱한 변화라도 생기면 뒷감당을 누가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사정관제에 대한 부실한 홍보도 문제로 지적됐다. 서울 C대학 박모 사정관은 “제도의 목표가 사교육에서 자유로운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인데 선발 인원도 적고, 입시 정보도 부족해 사정관제 합격을 위해 고액의 컨설팅 학원을 전전하거나 터무니없는 스펙 쌓기에 연연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 제도가 정착하려면 대학과 교육 당국이 수험생을 위한 입시 정보 전달에 각별한 노력을 쏟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주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3-12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