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탈선] 선로전환기 주행선 변경중 오작동 가능성

[KTX 탈선] 선로전환기 주행선 변경중 오작동 가능성

입력 2011-02-12 00:00
업데이트 2011-02-12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왜 일어났나

11일 KTX산천 탈선 사고원인 규명에 나선 코레일측은 열차 후미에서 탈선이 일어난 점을 들어 차량 자체의 결함보다는 선로 전환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생긴 사고일 가능성에 비중을 두고 있다. 선로 전환기가 주행선 변경 중 오작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부산에서 광명으로 향하던 KTX산천 224호 열차가 11일 오후 1시 5분쯤 광명역 전방 800m 상행선 일직터널에서 선로를 이탈하며 멈춰섰다.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KTX열차 상·하행선 운행이 중단돼 열차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경기소방본부 제공
부산에서 광명으로 향하던 KTX산천 224호 열차가 11일 오후 1시 5분쯤 광명역 전방 800m 상행선 일직터널에서 선로를 이탈하며 멈춰섰다.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KTX열차 상·하행선 운행이 중단돼 열차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경기소방본부 제공
선로 전환기는 예정된 열차 운행에 맞춰 자동 변환한다. 광명역에는 주말(금요일 포함)에 평균 10분에 1대 꼴로 KTX 가 운행한다. 이날도 오후 1시 3분 광명역 도착예정이던 사고열차보다 9분 전인 낮 12시 54분에는 광명역에 정차했다가 서울로 가는 KTX열차가 있었다. 또 오후 1시 15분에는 무정차 통과로 부산발 KTX열차가 광명역을 지나갈 예정이었다.

문제의 사고열차는 도착예정 시간보다 늦게 광명역으로 진입했고 오후 1시 30분에는 다시 부산으로 내려갈 예정이었다. 그런데 예정시각보다 늦게 역사로 진입하면서 선로 전환기가 오작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KTX산천은 보름에 한번꼴로 고장을 일으킨 적도 있어 차량 자체 결함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정확한 사고원인은 열차에서 수거한 블랙박스 조사가 끝나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KTX산천은 지난해 3월 2일부터 상업운행에 나섰다. 코레일과 KTX산천 제작사인 로템측은 이후 KTX산천이 여러 차례 안전에 위협이 될 만한 고장을 일으켰음에도 근본적인 개선 없이 열차를 투입하고 있다.

산천에 대한 불안감은 지난해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을 앞두고 시운전에 나섰다가 국내 최장 터널인 금정터널(20.3㎞) 안에 멈춰 서면서 감지됐다. <서울신문 10월 26일자 2면〉사고 조사 결과, 초기 고속열차(KTX) 고장의 주 원인이던 모터블록(열차 바퀴를 움직이는 전동장치)이 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다. KTX산천은 이 사고와 경부고속철 1단계 구간 사고 등을 포함해 지난해 8월까지 주행 6개월 동안 12건의 크고 작은 고장을 일으켰다.

이후에도 장애와 고장이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해 10월 27일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던 KTX산천 109호 열차가 천안아산역 인근에서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그 해 11월 11일에는 천안아산역으로 가던 KTX산천 객실에서 난방기 이상으로 연기가 발생, 승객들이 화재로 오인하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이번 탈선사고로 코레일의 해외철도 프로젝트 수주에 적신호가 켜졌다. 코레일측은 산천을 필두로 오는 4월 브라질 고속철도 건설사업에 진출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해외 진출을 위해 야심차게 개발한 한국형 고속열차가 국내에서조차 외면받는 상황이 우려된다. 일각에서는 “코레일 직원들은 웬만하면(?) 산천을 안 탄다.”는 괴담까지 나돌고 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2-12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