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전범들은 日 ‘방패막이’ 술책 희생자

조선인 전범들은 日 ‘방패막이’ 술책 희생자

입력 2010-12-28 00:00
업데이트 2010-12-28 08: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대전 당시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연합군 포로를 감시한 조선인들은 종전 후 식민지에 침략전쟁의 책임을 떠넘기려는 일본의 술책에 휘말려 막대한 희생을 당한 사실이 정부 조사에서 드러났다.

조선인 148명은 전쟁이 끝나고서 연합국 국제전범재판에 넘겨져 BㆍC급 전범으로 몰려 사형을 당하거나 장기간 복역하는 등의 피해를 본 것이다.

28일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 따르면 일본이 연합군 포로를 본격적으로 관리한 것은 1940년 9월부터다.

당시 북부 베트남을 공격해 약 30만명의 연합군을 포로로 잡았기 때문이다.

이후 일본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만주, 대만, 한반도 등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했다.

조선인들은 1942년 5월부터 포로감시원으로 동원됐다. 일본군 병력을 보충하고 종전 후 전쟁 책임을 떠넘기고자 한반도에서 감시원들을 뽑아 데려간 것이다.

선발 절차는 접수, 전형, 장행회, 군 최종심사 등 총 4단계였다.

1~3단계에서는 각 지역 관공서들이 회유와 강요 등 수법으로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고, 일정 학력에 일본어가 가능하면 우대했다.

포로감시원 선발은 신문 공고를 내는 등 모집 형식을 취해 이뤄졌지만, 실제는 조선총독부가 각 읍면에 인원수를 할당한 강제동원이었다.

군에 끌려가지 않아도 되는 점을 일부러 부각했고, 도청ㆍ관청별로 전형을 치르도록 해 지역 간 경쟁도 부추겼다.

이렇게 뽑힌 조선인 3천여명은 두 달간 강도 높은 군사훈련을 받고 동남아시아 일대 포로수용소에 감시원으로 배치됐다.

이들은 일본군과 연합군 포로 사이에서 피해자이자 가해자 역할을 맡을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2차대전이 끝나고서 일본에서 버림받은 것도 모자라 일부는 연합국 국제전범재판에서 BㆍC급 전범이라는 낙인까지 찍혔다.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패전국의 멍에를 벗었지만, 포로감시원으로 동원된 조선인들은 여전히 전범으로 남은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