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야당, KEC 지부장 분신 진상조사 요구

민노총·야당, KEC 지부장 분신 진상조사 요구

입력 2010-10-31 00:00
업데이트 2010-10-31 15: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31일 경찰의 강제연행에 반발해 분신한 김준일(46) 금속노조 구미지부장이 입원한 서울 한강성심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에는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와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 국민참여당 이재정 대표가 참석했으며, 회견이 끝난 직후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병원을 방문했다.

손 대표는 “이번 사태는 노동조합과 노동운동가를 국민으로 보지 않는 이명박 정부의 노동관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라며 “도저히 묵과하거나 간과할 수 없는 일로 노동계와 야당이 공동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훈 민노총 위원장은 “KEC사태를 해결하지 않으면 G20도 없다”고 말해 이번 사태와 G20 규탄시위를 연계할 방침임을 내비쳤다.

민노총과 야당들은 성명을 통해 정부와 사측에 경찰병력 및 용역직원 철수, 농성조합원에 생필품 제공, 직장폐쇄 철회,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 등을 요구했다.

반도체생산업체인 KEC 노조원 200여 명은 21일 구미1공장을 점거하고 농성에 돌입했으며, 경찰은 12개 중대 1천200여명의 경찰력을 동원해 외부 접촉을 차단했다.

KEC 노사는 30일 오후 7시 교섭을 시작했는데 오후 10시께 노사 대표가 정회를 선언하자 경찰이 교섭장에 들어가 노동자 대표를 연행했다고 민노총은 말했다.

김준일 지부장은 경찰이 쫓아오자 몸에 시너를 붓고 분신했다.

민노총은 이날 저녁 한강성심병원 앞에서 김 지부장의 쾌유를 기원하는 촛불문화제를 연다.

경찰청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노사 최종 협상이 결렬돼 농성 장기화를 막기 위해 영장집행을 미룰 수 없었다”고 체포영장 집행 이유를 밝혔다.

경찰은 또 “김준일 지부장은 지인에게 ‘10월말까지 해결되지 않으면 끝장낸다, 신변을 정리하겠다’는 말을 하는 등 다수 노동자의 안전을 담보로 극단적 행동을 할 개연성이 높아 대형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 격리할 필요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