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난 ‘독도 영토 표석’ 복원 추진

동강난 ‘독도 영토 표석’ 복원 추진

입력 2010-10-25 00:00
업데이트 2010-10-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도수호대, 자갈 속에 파묻혀 있던 기단부 찾아내

시민단체가 수 십년간 동강난 채 방치되다시피 한 독도 영토 표석을 원상태로 되돌려놓는 방안을 추진해 주목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독도수호대는 24일 “독도 영토 표석(위)에서 떨어져 나가 바닷물에 잠긴 기단부(아래·탑의 아래 기초부분)를 몸돌 아래에 다시 괴도록 문화재청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날씨가 따뜻해지는 내년 봄부터 본격적인 복원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할 방침이다.

독도 동도(東島) 선착장 인근 해안에 있는 영토 표석은 폭 63㎝, 높이 111㎝인 화강석에 세로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지표’라고 한자로 새겨져 있다. 1950년대 초반 세워졌으며, ‘한국령(韓國領)’이라고 적힌 동도의 한 바위와 함께 독도가 한국 땅임을 보여주는 표식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하지만 가로 102㎝, 세로 68㎝ 크기의 기단부가 떨어져 나가는 바람에, 현재 몸돌과 재질이 다른 콘크리트 등으로 임시 기단을 대 놓은 상태다. 독도수비대는 1959년 태풍 ‘사라’가 독도 지역을 강타할 때 기단부가 훼손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단체는 지난해 인근 해안 자갈 속에 파묻혀 있는 기단부를 찾아내 안전한 곳으로 옮겨달라고 경북지방경찰청 소속 독도경비대에 요청했다. 하지만 경찰은 “기단부가 크고 무거운 데다 땅속 깊이 박혀있어 자력으로는 옮기기 어렵다.”고 통보해왔다. 독도수호대는 일단 기단부가 더 떠내려가지 않도록 영토표석 옆으로 옮겨놓은 뒤, 문화재청으로 관련 허가를 받아 현재의 임시 기단을 떼고 원래 기단부를 몸돌 아래에 이어붙일 계획이다.

독도수호대 관계자는 “영토표석은 과거 의용수비대가 제작·건립했다고 잘못 알려졌지만 정부 차원에서 제작·건립했다는 사실을 각종 공문서에서 확인했다.”면서 “왜곡된 1950년대 독도경비사를 재정립하는 차원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0-10-2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