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 ‘금연 바람’

대학 캠퍼스 ‘금연 바람’

입력 2010-10-12 00:00
업데이트 2010-10-1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스정류장, 공원 등 생활권 곳곳으로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들도 캠퍼스 내 금연구역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강의실과 교내 건물 등을 실내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캠퍼스 내의 건물 밖에서도 담배를 피울 수 있는 장소를 따로 지정해 교내 길거리 흡연을 막겠다는 것이다. 캠퍼스 안에서 담배를 피우려면 금연장소를 피하기보다 흡연 가능한 곳을 찾아다녀야 하는 세상이 됐다.
이미지 확대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캠퍼스 내 금연구역이 점차 확대 지정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강의실, 연구실 등 실내 건물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것에 이어 최근에는 도서관 인근이나 건물 출입구 등 건물 밖까지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중앙대는 최근 중앙도서관 앞 출입구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정했다. 주로 도서관 문 앞에 모여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 때문에 비흡연 학생들의 항의가 많았기 때문이다. 재학생 임연준(20·사회복지학과 1학년)씨는 “금연구역에서 담배꽁초가 발견될 경우 교내 인터넷 게시판에 서로 감시하고 조심하자는 글이 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단과대가 자체적으로 단대 건물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사례도 있다. 한양대 공대는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2009년부터 공대 건물 앞 벤치를 모두 금연구역으로 정했다. 흡연자인 최재원(28·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 2학년)씨는 “금연구역이 많아 흡연 가능한 곳을 찾아다니기가 귀찮지만 비흡연자의 혐연권도 중요하므로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아예 건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흡연구역을 만들어 지정된 장소에서만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교도 있다. 캠퍼스를 활보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길거리 흡연자를 줄이기 위해서다. 고려대는 학생들의 동선을 고려, 건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재떨이를 설치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못하도록 자율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부산대·경북대 등도 학교와 총학생회가 함께 나서 캠퍼스 내 금연구역인 그린존을 지정하고 도서관 앞, 쉼터 등을 흡연구역으로 정해 홍보하고 있다. 이화여대는 이화포스코관 앞 광장과 학관 앞 야외 숲에 재떨이를 비치해 이곳에서만 흡연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 대학 총무처 관계자는 “지정된 곳에서의 흡연이 잘 지켜지고 있지만 학생들의 요청이 많아 건물 밖 흡연·금연구역 추가 지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흡연구역 지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재학생 김태경(25)씨는 “지정된 곳에서만 담배를 피우게 하는 것은 비흡연자를 배려한 바람직한 방법”이라며 환영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0-10-12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