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구 94% 재난 피할 곳 없다”

“서울인구 94% 재난 피할 곳 없다”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에 큰 수해가 나면 몇 명이나 수용시설로 대피할 수 있을까.

서울시는 인구 1000만 명의 대도시이지만 피난민 수용능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정희수 의원이 국토해양부와 서울시로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서울 지방자치단체별 피난시설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의 피난민 수용 인원은 63만 3464명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 1046만 4051명(2009년 기준)의 6.1%에 불과했다.

자치구별는 도봉구가 37만 2398명 인구 가운데 7만 499명으로 가장 높은 수용률(18.9%)를 보였다. 이어 금천구(13%), 마포구(10.8%), 중구(10.1%), 강남구(8.8%)등이 뒤를 이었다.

수용능력이 가장 저조한 자치구는 양천구로 50만 6684명 인구 중 1만 1781명(2.3%)의 피난민만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천구는지난달에도 수해로 큰 홍역을 치르는 등 면적의 절반 정도가 침수 위험지역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천구와 함께 수해를 입은 강서구도 수용률이 3.6%에 불과했다. 정 의원은 “양천구와 강서구는 수용 능력도 낮지만 홍수 때 침수 위험지역이 관내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특히 수용시설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피난민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강서구로 75곳였다. 가장 적은 곳은 광진구와 금천구로 각각 15곳에 불과했다. 도봉구의 신방학중학교는 한 번에 5935명이 대피할 수 있지만, 용산구의 한남교회는 5명만 수용할 수 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0-10-11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