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564회 한글날 2제] “바우바우市 제2외국어 한글 될듯”

[9일 564회 한글날 2제] “바우바우市 제2외국어 한글 될듯”

입력 2010-10-09 00:00
업데이트 2010-10-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印尼, 한글 전도사 정덕영씨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의 바우바우시(市). 먼 이국땅인 이곳을 ‘한글섬’으로 만들고 있는 중심에 그가 있다. 올해 마흔아홉인 정덕영씨. 그는 지난 3월 이곳으로 건너와 술라웨시 지역 내 고등학교 세 곳, 초등학교 1곳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고등학생 200여명, 초등학생 130여명이 다 그의 제자다.

이미지 확대
그는 한글날을 맞아 “기쁜 소식이 있다.”고 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밝혔다. 일본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했던 바우바우시가 중국어를 추가할 예정이었다가 최근 한국어로 제2외국어를 정하려는 움직임이 생겼다는 것. 그는 “이곳에서 한글 교육을 시작한 이후 반응이 좋아 제2외국어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밝게 전했다. ‘대한민국 홍보대사’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3일 전에도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에 대해 가르쳤다고 한다. 그는 “앞으로도 한글의 유래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가르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11일부터는 찌아찌아족 초·중·고교 교사 20여명을 대상으로 한글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하지만 아직은 인력이나 교과서 등 물자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 교사는 그와 현지 교사 아비딘 둘뿐이다. 그는 “한글교육을 받은 교사들이 앞으로 아이들에게 직접 한글을 가르치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면서 “아직 수업 교재·시설 등이 열악해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요청했다.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일한 탓에 지난 6월 말에 풍토병(티푸스)까지 앓았다. 아침에 눈뜰 때마다 가슴이 두근두근한다는 그는 “어린 초등학생들이 처음 자음과 모음을 배우며 발음을 따라하는 게 너무 귀엽고 뿌듯하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0-10-09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