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아파트값 급등…단독주택↓

20년간 아파트값 급등…단독주택↓

입력 2010-08-18 00:00
업데이트 2010-08-18 07: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0여년 동안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에서는 아파트와 단독 주택 소유자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아파트 값은 지난 20여년간 크게 올랐지만 단독 주택은 오히려 가격이 내려가면서 주거 형태에 따른 ‘부의 지도’가 바뀌었다.



◇아파트 소유자 부동산 재미 ‘쏠쏠’

18일 통계개발원의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에 비해 2008년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은 평균 1.4배가 상승했다. 이 가운데 아파트는 1.83배, 연립주택은 1.25배가 오른 반면 단독 주택은 6.2% 하락했다.

아파트는 1990년부터 1993년까지는 계속 가격이 내려갔으나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겪기 직전인 1997년까지 완만하게 상승하다 1998년에 급락했다.

그러나 아파트 가격은 1999년부터 상승해 2003년까지 꾸준히 올랐다가 2004년 잠시 주춤한 뒤 2005년부터 계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가격이 가장 급등했던 해는 2002년으로 서울의 아파트 값이 한 해 동안 무려 31%나 폭등했으며 2006년에 다시 한번 급등해 24%의 가격 상승을 기록했다.

반면 단독이나 연립주택은 1990년 이래 지속적으로 가격이 하락해 1998년과 2000년 사이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8년 현재 우리나라 주택보급률은 109.9%로서 1인 가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더 많았다.

일반 가구 가운데 자가소유 가구의 비율은 2004년에 64.4%로 서구의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평가됐다. 주요 국가의 자가소유율은 헝가리가 86.5%로 가장 높고 일본이 60.9%, 미국이 69.0%, 독일 44.3% 등이다.

2007년 현재 우리나라의 자가용 승용차는 1천170만대로 1980년의 18만대와 비교해 65배가 증가했고 가구당 자가용 승용차 대수는 0.71대에 이르렀다.



◇전체 가구의 13%, 최저주거기준 미달

2005년 현재 우리나라 일반 가구 가운데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는 206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13%에 달했다. 미달 가구의 평균 주거면적은 38.0㎡로 거의 쪽방 수준이다.

다행인 것은 최저수준 미달가구의 비율은 1995년 전체의 34.4%에 달했으나 2000년 23.4%로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라는 점이다.

최저주거기준은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주거기준으로, 이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미달 사유는 시설기준 미충족이 가장 많고 면적기준, 침실기준 순이었다.

도시 지역에서는 주택의 물리적 시설은 양호하나 가구 구성에 따른 적절한 규모의 주거 면적과 방수를 확보하지 못한 가구가 많은 반면 농촌 지역에서는 물리적 시설이 열악한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가 많았다.

특히 노인 1인 가구에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그 규모가 29만가구에 달한다. 노인가구 전체는 72만가구, 1인 가구는 67만 가구, 소년소녀가장가구는 12만가구가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