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포 선원가족, “가 있는 사람이 더 힘들겠죠”

나포 선원가족, “가 있는 사람이 더 힘들겠죠”

입력 2010-08-09 00:00
업데이트 2010-08-09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들도 불안하고 잠도 못 자지만 그 쪽에 가 있는 사람들이 더 힘들겠죠” 동해상에서 북한에 나포된 포항선적 55대승호 선장 김칠이(58)씨의 부인 안외생(55)씨는 남편의 나포 소식에 긴 밤을 뜬 눈으로 새워 눈이 붉게 충혈돼 있었다.
이미지 확대
북한에 나포된 포항선적 55대승호 김칠이선장 (58)부인 안외생(55)씨가 9일 경북 포항수협에 마련된 비상상황실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아픔을 억누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에 나포된 포항선적 55대승호 김칠이선장 (58)부인 안외생(55)씨가 9일 경북 포항수협에 마련된 비상상황실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아픔을 억누르고 있다.
연합뉴스


 안씨는 북으로 끌려간 남편 소식이 궁금해 9일 아침 일찍 딸과 사위의 부축을 받으며 비상 상황실이 설치된 포항시 북구 포항수협을 찾았다.

 “집에서 뉴스만 들으니 답답해서 혹시 새로운 소식이라도 들을 수 있을까 해서 나왔습니다.30여년간 배를 타면서 한 번도 이런 일이 없었는데 막상 우리 가족에게 닥치니 하늘이 무너진 듯 합니다”라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안씨는 사고 당일인 8일 오전 9시 43분께 남편에게서 걸려 온 위성 전화를 받지 못했다.

 “부재중 전화를 확인하고 그냥 안부전화려니 했는 데 조금 지나자 어업무선국에서 전화가 와 차츰 불안해졌어요.아들과 번갈아가며 무선국에 전화를 걸어 위치보고가 없다는 말을 듣고는 걱정이 앞섰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 뒤 오후 1시께 남편에게서 다시 전화가 왔다고 했다.그런데 “북으로 가고 있는 데 걱정하지 마라.원산으로 가는 것 같다”는 말만 남기고 전화가 끊어졌다는 것.

 안씨는 “원산으로 간다는 말을 들었는 데 나중에 뉴스를 보니 성진항으로 간 것을 알았다”면서 “어디를 가든 제발 몸만이라도 건강하기를 바랄 뿐입니다”라며 애를 태웠다.

 또 안씨는 남편의 전화를 받은 이후 바로 갑판장 공영목(60)씨의 가족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무사할테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기다려 보자”며 서로 위로했다고 말했다.

 이어 안씨는 “다른 선원들은 휴대전화만 있어 연락이 안된다”면서 “선원 모두가 무사히 돌아와야 한다는 염원 밖에 없다”고 울먹였다.

 공씨의 부인과 가족들도 이날 오전 상황실을 찾아 나포 경과 등을 설명들은 뒤 20여분만에 상황실을 떠났다.

 이들은 “선원들을 책임지고 있는 선장이 더 걱정이다.제발 모두 무사히 돌아와야 할텐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기관장 김정환(52.부산시)씨의 가족도 수시로 상황실에 전화를 걸어 진행 상황을 물으며 불안과 초조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김씨의 형 낙현(54)씨는 “뉴스를 접하고 지금까지 포항수협 측에 확인만 하고 있다.이런 일을 처음 겪다보니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고 애를 태웠다.

 선원 이정득(48)씨는 자신의 휴대전화가 꺼져 있다.

 또 함께 나포된 중국인 선원 갈봉계(38.지린성),진문흥(37.허베이성),손붕(37.랴오닝성)씨 등 3명 가운데 갈씨는 지난해 7월 한국에 들어와 지금까지 2년째 김씨의 배를 타고 있다.

 또 진씨와 손씨는 외국인 선원 취업 절차를 거쳐 각각 지난 6월15일과 29일 입국한 뒤 갈씨와 함께 선장 김씨의 집 인근에 방을 얻어 생활해 왔다.

 이날 포항수협 상황실에는 박승호 포항시장이 찾아와 안씨와 가족들을 위로하고 수협 관계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포항수협은 조합원인 선장 김씨를 비롯 나포 선원들의 무사귀환을 위해 전 직원들이 철야근무를 하며 자체적으로 진행 상항을 파악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포항수협 김효겸 지도과장은 “나포된 선박의 조기귀환을 위해 관계기관 등에 탄원서 제출 등 가능한 모든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해경과 협조해 현재 조업중인 어선에 대해 안전조업 홍보에도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