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진 의원 “최저생계비 6300원으로 황제생활 체험”

차명진 의원 “최저생계비 6300원으로 황제생활 체험”

입력 2010-07-27 00:00
업데이트 2010-07-27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은 최저생계비 체험을 한 뒤 “6300원으로 황제같은 생활을 했다.”고 말해 도마 위에 올랐다.

 차 의원은 지난 23일부터 1박 2일간 서울 동자동 쪽방촌에서 참여연대가 진행하는 ‘릴레이 최저생계비 체험’에 참여했다.

이미지 확대
 그는 지난 26일 공개한 수기에서 다른 체험자들은 먹을 것을 사는 데 돈을 다 썼지만 자신은 문화생활을 즐기고 사회기부도 했다고 체험당시를 전했다. 그는 4680원으로 쌀·미트볼·쌀국수·참치캔을 사 끼니를 해결했고 1000원은 주위 어려운 이웃에게 약을 사 먹였으며, 600원으로 신문을 사서 읽었다고 밝혔다.

 이어 “단돈 6300원으로 황제와 같은 생활을 즐길 수 있었던 이유는 물가에 대한 좋은 정보와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는 건강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최저생계비로 살아가는 분들이 나처럼 할 수 있을지 섣부른 결론을 내리는 것은 옳지 않겠지만,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모색돼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글을 본 상당수 네티즌들은 ‘황제같은 삶’이란 표현에 대해 “최저생계비로 겨우 단 하루 체험용으로 겪어 본 것을 가지고 할 소리냐”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또 차의원이 자신의 트위터에 “지금 참여연대 주최 최저생계비생활 체험중입니다. 근데 솔직히 별로 힘들지 않고요 그냥 제가 할 일이란 생각이 드네요.”라고 글을 올린 것에 대해서도 일부 네티즌들은 “매일 매일 그렇게 살면 저런 소리가 나올까.”라고 질타하고 있다.

이같은 논란에 대해 차 의원 측은 “부정적인 의도로 글을 쓴 게 아니다.”고 해명했다. 차 의원 측 최승우 보좌관은 27일 오전 기자와 통화에서 “ 네티즌들의 비난에 대해 아직까지 (차 의원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며 “장애 바우처 등 복지혜택이 구석구석까지 전달됐으면 하는 바람을 수기로 전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다음은 차 의원의 체험수기 전문

최저생계비로 하루나기 체험 후기 -1

 최저생계비로 하루나기 체험에 다녀왔습니다. 식사비 6300원을 받고 쪽방에서 1박2일을 살아보는 겁니다. 저보다 앞서서 몇 분이 다녀갔지만 한나라당 의원은 제가 처음이었습니다.

 선배 경험자의 가계부를 조사했습니다. 한 컵에 800원 하는 쌀 두 컵에 1600원, 김치 한 보시기 2000원, 참치 캔 한 개 2000원, 생수 한 병에 500원, 이렇게 해서 모두 6100원이 들었답니다. 받은 돈 전부를 착실히 먹거리에 썼군요. 쌀은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걸 샀고 부식은 근처 구멍가게에서 샀답니다.

 전 다르게 접근했습니다. 제가 굶어죽을까 염려한 집사람이 인터넷에서 조사한 자료를 참조했습니다. 쌀은 800원어치 한 컵만 샀습니다. 그리고 마트에서 쎄일하는 쌀국수 1봉지 970원, 미트볼 한 봉지 970원, 참치캔 1개 970원을 샀습니다. 전부 합해 3710원. 이정도면 세끼 식사용으로 충분합니다. 점심과 저녁은 밥에다 미트볼과 참치캔을 얹어서 먹었고 아침식사는 쌀국수로 가분하게 때웠지요. 아참! 황도 970원짜리 한 캔을 사서 밤에 책 읽으면서 음미했습니다. 물은 숙소에 도착하자마자 수돗물을 한 양재기 받아서 끓여 놓았지요. 이 정도면 황제의 식사가 부럽지 않지요. 나머지 돈으로 뭐 했냐구요? 반납하지 않고 정말 의미있게 썼습니다.

최저생계비로 하루나기 체험 후기 -2

 먹거리로 쓴 돈 4680원을 빼니까 1620원이 남더군요.

 그중에서 1000원은 사회에 기부했습니다. 체험 내용 중에 쪽방촌 사람들 도우는 일이 있는데 제가 만난 사람은 1급 시각장애자였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으나 1평짜리 골방에 박혀 매일 술로 지새웠습니다. 그 분을 부축하고 동사무소에 도움을 신청하러 가는데 인사불성에 속이 불편한 지 계속 꺼억댔습니다. 약방에 가서 제 돈 1,000원을 내고 속 푸는 약을 사드렸습니다. 집에 돌아가서는 걸레를 물에 빨라 방 청소를 해드렸는데 이불을 들자 바퀴벌레 수십 마리가 혼비백산 달아나더군요. 바퀴벌레 알도 쓸어내고 청소를 마친 다음에 젖은 수건으로 온몸을 닦아 드렸습니다. 기분 좋은 지 살짝 웃더군요.

 하루밤을 잘 자고 난 다음날 아침 주변을 산책했습니다. 돌아오면서 조간신문 1부를 600원에 샀습니다. 문화생활을 한 셈이죠. 마지막으로 남은 돈은 20원이었습니다.

 나는 왜 단돈 6300원으로 황제와 같은 생활을 할 수 있었을까? 밥 먹으라고 준 돈으로 사회기부도 하고 문화생활까지 즐겼을까? 물가에 대한 좋은 정보와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는 건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최저생계비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분들이 저처럼 될 수 있을까요? 단 하루 체험으로 섣부른 결론 내리는 것은 옳지 않겠지요. 다만 최저생계비만 올리는 것으론 답이 안 나올 것 같습니다. 국가재정에도 한계가 있고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인터넷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