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제 찬성 83%···미집행자 사형집행 해야 91%”

“사형제 찬성 83%···미집행자 사형집행 해야 91%”

입력 2010-03-14 00:00
업데이트 2010-03-14 1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 여중생 성폭행 살해사건을 계기로 사형제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사형제 찬성 의견이 80%를 웃도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나왔다.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소장 진수희)가 지난 12일 전국의 성인남녀 3천49명을 대상으로 긴급 ARS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3.1%는 범죄예방 효과 등을 이유로 사형제에 찬성한 반면,11.1%는 사형수 인권을 앞세워 반대 입장을 보였다.5.8%는 ‘잘 모르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연령대별 사형제 찬성률은 20대만 76.5%로,70%대를 기록했고 나머지는 모두 80% 중반대를 보였다.성별 사형제 찬성률은 남성(81.4%)보다 여성(84.8%)이 약간 높았다.

 특히 미집행 사형수에 대한 사형집행 공감도를 묻는 질문에 91.4%가 ‘그간의 사형 미집행이 오히려 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공감을 표시한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8.6%에 그쳤다.

 또 부산여중생 성폭행 살해사건 이후 사형제에 대한 의견 변화 여부를 물은 데 대해 76%는 과거나 현재나 찬성이라고 밝힌 반면,16.2%는 원래는 반대였으나 찬성으로 돌아섰다는 입장을 나타냈다.이 항목으로 보면 사형제 찬성률은 92.2%까지 올라간다.

 여중생 성폭행 살해범의 처벌형량에 대해선 응답자의 51.9%는 사형을 집행해야 한다고 답변했고 이어 24%는 종신형,11.6%는 20년 이상 징역형,7.4%는 10-20년 징역형 등이 적당하다는 의견을 각각 보였다.

 이밖에 현행 성범죄자 처벌 수위가 너무 낮다는 의견이 87.9%,그간의 사형 미집행이 흉악범죄 발생률 증가의 주된 원인이라는 지적이 83.5%,사형제가 범죄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89.4%에 각각 달했다.

 우리나라의 치안 안전도에 대해서는 72.5%는 안전하지 않다고 본 반면,27.5%는 안전하다고 답변했다.

 당 관계자는 “성폭행 살해범 등 흉악범에 대해서는 사형을 집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면서 “잔혹한 범죄,인간이기를 포기한 방법으로 범행을 저지른 자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사형을 집행해 사회적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