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경
홍희경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홍희경 기자입니다.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김치시장의 모순

    김치시장의 모순

    올해 김치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10월 누적 수출액이 1억 3739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연말까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기록(1억 6357만 달러)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K푸드 열풍과 건강식품으로서 김치에 대한 관심이 겹치면서 일본, 미국, 캐
  • 기술이 지켜 주는 밤… 사람은 더 ‘인간다운’ 일을 할 수 있다

    기술이 지켜 주는 밤… 사람은 더 ‘인간다운’ 일을 할 수 있다

    인공지능(AI)이 만드는 변곡점 앞에서 기업부터 노동까지 모든 삶이 바뀔 것이라는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한국 경제를 이끈 반도체, 조선, 철강 같은 거대 산업들이 AI와 자동화로 어떻게 변할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하지만 역사를 보면 기술 변화는 언제나 거대한 서사와 작은 일상 속에 동시에 흘렀다.한국의 전자·
  • 바라카 모델

    바라카 모델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그제 아부다비 정상회담에서 ‘바라카 모델’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인공지능(AI) 기반 원전 효율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포괄적 전략 에너지 파트너십’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바라카 모델은 2009년 한국이 22조 6000억원에 바라카 원전 건설을 수주한 사업
  • 국제표준 된 ‘김치 배추’

    국제표준 된 ‘김치 배추’

    ‘김치 캐비지’(Kimchi cabbage)가 김치 세계규격 배추 명칭에 공식 등재됐다.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 총회에서 기존 ‘차이니즈 캐비지’(Chinese cabbage)로만 표기되던 김치 주원료 배추를 김치 캐비지, 나파 캐비지(Napa cabbage)를 더해 3가지 명
  • 비닐봉지 재활용 작전기

    비닐봉지 재활용 작전기

    장보기의 부산물, 배달음식의 흔적. 며칠만 지나도 비닐봉지들이 집안에 쌓인다. 우리 국민이 한 해 사용하는 비닐봉지가 자그마치 267억 장.젖었거나 가루가 날리는 쓰레기를 감싸 줄 때면 고마운 존재지만, 문제는 재고 관리다. 어떤 날은 넘쳐나고, 어떤 날은 찾을 수 없어 아깝게 새 위생비닐을 뜯는다. 버리면 금세
  • “AI 인재 전쟁, 승부는 ‘생태계’에서 갈린다”

    중국 항저우, ‘6룡 신화’로 창업 DNA 증식구글, 노벨상 5개 쓸어담은 기초 투자 승부수대만, 글로벌 인재 순환고리로 ‘작은 거인’ 완성한국, 인재 키우기 넘어 ‘뛸 무대’ 구축해야인공지능(AI) 인재양성과 유치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공통 고민이다. 전문가들은 AI 인재양성을 ‘인재 확보 전략’의 일환으
  • 아마존은 로봇배송, 한국은 새벽배송도 막나

    아마존은 로봇배송, 한국은 새벽배송도 막나

    아인슈타인이나 스티브 잡스가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성공은커녕 문제 학생으로 찍혔을 것이란 자조가 있다. 한국의 획일적이고 경직된 체계에 대한 오래된 농담이다. 한국은 파격보다 안전함을 선호하고, 혁신보다 숙련에 보상하는 체계다. 이런 ‘안정 지향 사회’에선 천재도 괴롭지만 사회도 아프다. 천재성을 제대로 꽃피워 집
  • “인재, 유출 아닌 순환하는 것… 정착 가능한 AI 생태계 조성 필요”

    “인재, 유출 아닌 순환하는 것… 정착 가능한 AI 생태계 조성 필요”

    #손병호 KISTEP 부원장최고급 인재 유치·융합 양성 병행‘AI 인재 되면 성공’ 사례 보여줘야#안준모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해외 인재 복귀 후 연구 환경 조성모험적 직업 선호 문화 조성 필요#이성주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해외 인재 노하우 전수 조직 전무산학협동 인재 양성 프로그램 필요#홍아름 경희대 테크노경영대
  • 디지털 이민자

    디지털 이민자

    며칠 전 밤늦은 마트. 어르신이 셀프계산대 앞에서 버튼과 씨름 중이었다. 결국 포기하려는 걸 보자 오지랖이 나왔다. “이 버튼인 것 같아요.”민망한 듯 “제가 원래 이런 것 잘 쓰는 사람인데…” 하며 쓴웃음 짓는 그분께 “기계가 너무 어려워요. 쓸 때마다 헷갈려요. 저도 식당에서 이런 기계 보면 엄청 헤매요”라고
  • 진격의 SK하이닉스

    진격의 SK하이닉스

    2003년 3월 26일 하이닉스반도체 주가는 135원이었다. 적자와 계열분리, 인수합병 후유증으로 실적이 악화된 가운데 채권단의 재무구조 개선 요구에 따라 21대1의 감자가 불가피했다. ‘동전주’라는 굴욕적인 별명이 붙었다. 그런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어제 종가 기준으로 약 406조원. 2012년 3조 426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