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123석’…경기북부 19대 접전지서 야당 ‘전승’

‘더민주 123석’…경기북부 19대 접전지서 야당 ‘전승’

입력 2016-04-14 09:45
업데이트 2016-04-14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3일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 경기북부 15개 선거구 중 리턴매치가 펼쳐진 5개 선거구에서 야당이 모두 이겼다. 야당은 또 19대 때 근소한 표차로 패했던 접전 지역지도 싹쓸이했다.

다만,신설 선거구인 동두천·연천,포천·가평,남양주병 등 3개 선거구는 새누리당이 모두 가져갔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12곳에서 야당이 승리한 곳은 의정부을 뿐이다.

19대에 이어 20대에 맞대결을 펼친 곳은 양주,고양갑,고양정,파주갑,파주을 등 모두 5곳이다. 19대 때는 5곳 중 여당이 파주을 1곳에서 승리했다. 19대 때 초접전을 펼쳐 170표차로 승패가 갈린 고양갑에서는 정의당 심상정(57·여) 후보가 새누리당 손범규(49) 후보를 2만표 이상 크게 앞서 압승을 거뒀다.

▲ 기뻐하고
더불어민주당 정세균(서울 종로) 후보가 13일 개표 결과 당선이 확실시되자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지지자들을 보고 웃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미지 확대
금배지 단 조응천
금배지 단 조응천 4·13 총선 경기 남양주갑 선거에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후보가 14일 0시 넘어서 승리가 확정된 뒤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심 당선인은 19대 때 야권 단일후보로 나서 신승했지만 20대 때는 야권 후보가 2명이나 더 나와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의 불리함 속에서도 여유 있는 표 차이로 이겼다.

파주을에서도 여당 중진인 황진하(69)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박정(53) 후보가 재대결을 펼쳤다.

19대 때 박정 후보는 파주을이 야권후보 단일화지역으로 선정,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해 5천여표 차이로 황진하 후보에게 졌다. 당시 야권단일후보였던 통합진보당 후보가 선거 이틀 전 후보직에서 물러나면서 사표가 6000표 정도 발생했다. 그러나 박 후보는 이번 총선에서 황 후보에게 설욕했다.

파주갑,양주,고양정은 더불어민주당 윤후덕(59), 정성호(53), 김현미(53·여) 후보가 각각 새누리당 후보를 여유있게 누르고 재대결에서도 승리했다. 

19대 때 살얼음판 경쟁을 펼친 곳은 고양갑, 고양을, 파주을 등 3곳이다. 19대 때 고양갑은 170표 차이로, 고양을은 226표 차이로 승부가 났다.고양갑은 야당이, 고양을은 여당이 가져갔다.

파주을은 5000표가량 차이가 났지만 야권단일후보의 선거 이틀 전 사퇴로 사표가 무려 6000표 정도 발생한 것을 감안하면 나름 격전지였다.

야당은 이번 총선에서 이들 3곳을 모두 싹쓸이 했다. 특히 고양을은 이번에도 앞서거니 뒤서거니를 반복하며 접전을 벌였지만 800여 표 차이로 정재호(50) 후보가 승리해 여의도에 입성하게 됐다.

19대 때 접전지는 아니지만 남양주갑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조응천(53) 후보가 여당 후보를 249표 차이로 누르고 신승했다. 그러나 선거구가 조정된 3곳은 모두 새누리당 몫이었다.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19대 때 선거구는 모두 13곳으로, 남양주병과 동두천·연천 신설 선거구가 생기고 포천은 연천과 한 선거구였다가 이번에 여주·양평에서 분리된 가평과 한 선거구가 됐다.

남양주병에서는 주광덕(55) 후보가, 포천·가평은 김영우(49) 후보가, 동두천·연천에서는 초선의 김성원(42) 후보가 각각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여유 있는 표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3곳을 제외한 나머지 12곳 선거구 중 여당이 승리한 곳은 의정부을 홍문종(61) 후보가 유일하다.

이에 따라 이번 20대 총선에서 야당은 11곳(더불어민주당 10곳,정의당 1곳)에서 승리해 19대에 비해 2개 선거구를 더 차지한 반면,여당은 19대와 같은 4곳을 얻는데 그쳤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