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적 뗀 무소속 후보 11명 당선… 복당할까?

당적 뗀 무소속 후보 11명 당선… 복당할까?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4-14 08:58
업데이트 2016-04-14 0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승리
승리 무소속 유승민(대구 동을) 후보가 13일 당선이 확정된 뒤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꽃목걸이를 받고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대구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번 20대 총선에서 당적을 떼고 선거전을 펼쳤던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살아 남았다. 이들 대부분은 각 정당의 공천결과에 반발해 당을 떠나 출마해 결과적으로는 ‘친정’이 공천한 후보들을 꺾고 ‘금의환향’하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장제원(부산 사상구)·유승민(대구 동구을)·홍의락(대구 북구을)·주호영(대구 수성구을)·안상수(인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윤상현(인천 남구을)·김종훈(울산 동구)·윤종오(울산 북구)·강길부(울산 울주군)·이해찬(세종)·이철규(강원 동해시삼척시) 등 모두 11명의 무소속 후보가 당선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대구 수성구을에 출마한 주호영 후보는 새누리당 이인선 후보를 꺾었다. 주 후보는 새누리당 지도부가 자신의 지역구를 여성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하면서 컷오프한 데 반발해 탈당했다.

새누리당 ‘공천 파동’의 핵심 진원지였던 유승민 후보도 대구 동구을에서 75.7%의 득표율로 네 번째 금배지를 가슴에 달았다. 유 당선인은 당이 공천심사 발표를 막판까지 미루며 사실상 불출마 압박을 가하자 탈당을 선언하고 무소속으로 선거를 치렀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 지역을 무공천함으로써 유 당선인을 ‘측면 지원’했다. 유 당선자는 당선이 확실시 된 뒤 “당을 떠났지만 한 번도 새누리당 사람 아니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며 복당 의사를 밝혔다.

역시 당 공천결과에 반발해 탈당 후 무소속 출마한 울산 울주군의 강길부 후보(40.3%)도 새누리당 김두겸 후보를 꺾었다. 김 대표에 대한 취중 막말논란으로 새누리당에서 공천배제된 무소속 윤상현 후보도 인천 남구을에서 48.7%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더불어민주당에선 호남에 기반을 둔 의원들이 대거 탈당 후 국민의당에 입당하면서 무소속 출마는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3명 중 2명이 당선돼 당선율은 높았다.

공천에서 배제된 후 자신의 지역구인 세종시에 기호 6번을 달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해찬 후보는 새누리당 박종준 후보를 제치고 7선 고지를 밟았다.

이와 함께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에 해당돼 공천 탈락한 후 대구 북을에 기호 6번을 달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홍의락 후보도 새누리당 양명모 후보를 꺾었다. 다만 홍 후보는 더민주에 복당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