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8000만 겨레 앞 약속… 한반도 평화 뒤로 돌릴 수 없다”

文 “8000만 겨레 앞 약속… 한반도 평화 뒤로 돌릴 수 없다”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06-16 01:46
업데이트 2020-06-16 0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15 20주년 날 남북관계 입장 밝혀

“대화의 문 열어야” 호소… 北은 침묵
이미지 확대
文대통령 “남북관계 또다시 멈춰선 안 돼”
文대통령 “남북관계 또다시 멈춰선 안 돼” 문재인 대통령이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은 15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열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남북 관계 긴장감이 고조된 것을 두고 “나와 김정은 위원장이 8000만 겨레 앞에서 했던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정상 간 첫 만남의 산물인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은 15일 “오랜 단절과 전쟁의 위기까지 어렵게 넘어선 지금의 남북 관계를 또다시 멈춰서는 안 된다”며 “나와 김정은 위원장이 8000만 겨레 앞에서 했던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북한도 소통을 단절하고 긴장을 조성하며 과거의 대결 시대로 되돌리려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지난 4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북 전단(삐라) 살포 비난 담화 이후 남북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와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열린 6·15 기념식 영상 축사에서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은 남북 모두 이행해야 하는 엄숙한 약속이며 정세 변화에도 흔들려서는 안 될 확고한 원칙”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어 “우리가 직면한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들은 소통과 협력으로 풀어야 한다”면서 “반목과 오해가 평화와 공존을 향한 우리 노력을 가로막게 두어서는 안 된다”며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한반도 정세를 획기적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과 노력을 잘 알고 있고, 기대만큼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진전이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나 또한 아쉬움이 매우 크다”며 공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남북이 함께 돌파구를 찾아 나설 때가 됐고, 여건이 좋아지기만 기다릴 수 없는 시간까지 왔다”고 호소했다. 북측은 침묵했다. 노동신문은 김 제1부부장의 지난 13일 담화문에 대한 해설을 싣고 “혁명강군은 인민의 원한을 풀어 줄 단호한 행동을 개시할 것”이라고 강경 기조를 이어 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0-06-16 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