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의 이례적 3大 장면은

한미 정상회담의 이례적 3大 장면은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4-11 13:19
업데이트 2019-04-11 1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 대통령 볼턴 등 사전 각료접견, 정상내외 동석 회담, 퍼스트레이디 단독 오찬

1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여느 회담 때와는 다른 이례적인 장면이 세 차례 연출된다.

우선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하기 전인 오전에 먼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따로 접견하는 일정이다.

펜스 부통령은 공화당 소속 상원 의장을 겸하는 관계로 ‘의회 대표’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보다도 정상끼리 만남에 앞서 우리 대통령이 상대국 각료들을 먼저 면담하는 장면은 외교 프로토콜 상 매우 예외적인 경우다. 특히나 볼턴 보좌관과 펜스 부통령은 미국 행정부 내 대표적 강경파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11일 “정상회담에서 사실상 만남의 급으로는 맞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2017년 11월 한국 국빈방문 당시 문재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내외. 연합뉴스
지난 2017년 11월 한국 국빈방문 당시 문재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내외. 연합뉴스
이는 문 대통령이 구상하는 비핵화 진전을 위한 ‘연속적 조기수확’(early harvest)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북핵외교 핵심 참모들에게 직접 강조하려는 측면이 강하다는 관측이다. 동시에 미국 강경파 입장에서는 단독 회담에 앞서 문 대통령의 의중을 확인하고, 즉흥적 스타일인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 조율을 거치지 않은 깜짝 제안을 내놓을 가능성 등 부담 요소를 덜려는 정지 작업의 일환일 수 있다.

두 번째 장면은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에 한미 정상 내외가 함께 배석하는 정상회담이다.

오벌 오피스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 상대국 대통령 부인이 동석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 앞서 다른 외국 정상의 미국 방문 때 몇 차례 이뤄진 전례는 있지만, 한국 정상 내외가 함께 오벌 오피스를 찾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따른 것이라고 청와대는 11일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특별한 우호 관계를 갖고 있는 해외 정상들을 맞이할 때만 (오벌 오피스에서) 맞이한다”며 “우리나라 정상 가운데에는 이번이 최초로, 트럼프 부부의 예우의 의미가 담겼다”고 말했다.

마지막 장면은 정상회담 배석에 이어 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와 트럼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여사의 단독 오찬이다.

두 정상이 확대정상회담을 갖는 동안 두 퍼스트레이디는 별도의 일대일 오찬을 갖는다. 한미 정상 부인의 단독 오찬은 지난 1989년 10월 노태우 대통령의 방미 당시 김옥숙 여사와 바버라 부시 여사의 만남 이후 30년 만이다.

일각에서는 정상 부인들의 배석으로 북핵 비핵화를 심도있게 논의할 단독 회담 시간이 줄어든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두 여사는 친교 목적으로 회담 초반 잠시 배석한 뒤 자리를 뜨기 때문에 대화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