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초대형방사포 연발사격 30초→20초, 낮게 멀리 날아가

北 초대형방사포 연발사격 30초→20초, 낮게 멀리 날아가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3-03 09:14
업데이트 2020-03-03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일 북한 장거리포병구분대의 화력타격훈련 때 명중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함북 길주군 무수단리 앞바다 ‘알섬’에 포연이 치솟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지난 2일 북한 장거리포병구분대의 화력타격훈련 때 명중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함북 길주군 무수단리 앞바다 ‘알섬’에 포연이 치솟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우리 군은 북한이 전날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북한 명명)’로 평가한 것으로 3일 알려졌다. 특히 초대형 방사포 연발 사격 시간을 20초로 크게 단축한 점이 돋보인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화력타격 훈련을 직접 지도했다면서 관련 사진 여러 장을 공개했는데 지난해 11월 28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 모습과 거의 같다. 초대형 방사포는 원통형 발사관이 600㎜급으로 네 축의 이동식발사차량(TEL)에 탑재된다. 초대형 방사포가 TEL에서 발사되는 장면과 함께 240㎜ 방사포탄이 날아가는 사진도 눈에 띈다. 화력타격 훈련에서 초대형 방사포와 240㎜ 방사포 등을 섞어 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초대형 방사포 연발 사격 시간을 20초로 크게 단축해 위협적이다. 북한은 지난해 8월 24일, 9월 10일, 10월 31일, 11월 28일 등 네 차례 초대형 방사포를 시험 발사했는데 연발 사격 시간은 1차 17분, 2차 19분, 3차 3분, 4차 30초로 줄였는데 이번에는 10초를 당겼다.

TEL에는 원통형 발사관 4개가 탑재돼 이론 상으로 네 발을 연속 사격하는 데 적어도 1분이 걸리는데 그만큼 기습 발사 능력이 향상됐다는 얘기다.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의 킬체인(Kill Chain)은 북한의 장사정포를 최소 5~6분 이내로 탐지 격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 네 발을 1분 안에 모두 쏘고 은밀한 곳에 숨는다면 타격이 어려울 수 있다.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두 발을 연이어 쏘는 데만 1분가량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600㎜급의 초대형 방사포가 35㎞의 낮은 고도로 240㎞를 비행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와 같은 크기는 세계 어느 곳에도 없다. 중국은 400㎜급 대구경 다연장로켓을 운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초대형 방사포의 탄두에 건물 파괴용 이중목적탄(DPICM)이나 확산탄 등을 탑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고위력의 탄두를 장착한 초대형 방사포가 저고도로 빠르게 비행하면 지상에서 요격하기 쉽지 않다. 탄도미사일은 발사 후 수직 상승 및 정점 고도에서 하강 단계가 있어 요격 확률이 높다.

북한이 전날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 두 발은 원산 인근에서 함북 길주군 무수단리 앞바다 ‘알섬’을 표적으로 발사한 것으로 군은 분석하고 있다. 북한은 포연이 이 표적섬을 뒤덮은 사진을 공개해 ‘명중률’을 과시하려 했다. 원산에서 이 표적섬까지의 거리는 240㎞가량이다. 초대형 방사포와 함께 쏜 240㎜ 방사포는 사거리가 60~65㎞로 이 표적섬에 이르지 못한다.

만약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로 이 표적섬을 정확히 타격했고, 포연이 발생한 것이 맞다면 탄두에 ‘확산탄’을 탑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확산탄은 목표물 인접 상공에서 자탄을 뿌리고 그 자탄들이 지상에 떨어져 광범위한 폭발을 일으키는 탄을 말한다.

정보당국 소식통은 “북한이 어제 쏜 단거리 발사체는 원산에서 알섬 방향으로 날아간 것은 맞다”면서도 “알섬을 명중했는지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은 2017년부터 초대형 방사포 개발에 착수, 최대 사거리 200㎞가 넘는 300㎜ 신형 방사포를 2016년 말께 실전 배치한 뒤 600㎜급 초대형 방사포를 실전에 배치할 수 있는 준비를 거의 마친 셈이다. 일부에서는 이미 배치가 완료됐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더 다듬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