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패션도 ‘TPO’ 따진다…“예의 어긋난 옷차림은 정신 병들게 해”

북한 패션도 ‘TPO’ 따진다…“예의 어긋난 옷차림은 정신 병들게 해”

입력 2019-11-30 14:48
업데이트 2019-11-30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일 평양시내 봄이 완연한 날씨에 아가씨들이 화사한 옷을 입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 2017.4.6 평양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6일 평양시내 봄이 완연한 날씨에 아가씨들이 화사한 옷을 입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 2017.4.6 평양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북한에서도 ‘TPO’(time·place·occasion, 시간·장소·상황)라는 단어가 통용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복장에 이를 엄격히 따진다는 것은 명백해졌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옷차림과 예절’ 제목 기사에서 “옷차림 예절을 잘 지키는 것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미풍”이라며 상황과 장소에 맞는 옷차림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노동신문은 “먼 옛날부터 우리 인민들은 우수한 옷차림 예절을 창조하고 발전시켜 왔다”며 “방 안에 있을 때, 밖에 나설 때, 명절에 입는 옷을 비롯해 때와 장소의 특성에 맞게 옷차림을 언제나 깨끗하면서도 고상하게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정치 행사에 참가하거나 영화관과 같은 공공장소에 갈 때 옷차림을 문화성 있게 하는 것은 누구나 지켜야 할 공중예의 도덕”이며 “이와 어긋나는 비문화적이고 비도덕적인 옷차림을 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행사의 분위기를 떨구게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즐거운 분위기가 넘치는 장소에 갈 때는 옷차림을 화려하고 아름답게, 제삿집 같은 곳에 갈 때는 단조롭고 검소하게 한다”고 주문했다.

신문은 또 “여성들을 비롯해 사람들 누구나가 옷을 자기 나이와 몸매에 어울리게 입는 것도 다 사회 도덕”이라며 개인별 특성에 맞는 옷 입기를 권장했다.

신문은 “불건전하며 예의에 어긋나는 옷차림은 정신을 병들게 하고 인간다운 면모를 잃게 한다”며 “사회를 사상적으로, 도덕적으로 변질시켜 사회주의의 본태를 흐리게 하는 엄중한 후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옷차림에 “인민의 검박하고 겸손한 품성이 잘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18일 평양 인민야외빙상장에서 시민들이 스케이트를 즐기고 있다. 2017.1.31 평양 조선신보/연합뉴스
지난 18일 평양 인민야외빙상장에서 시민들이 스케이트를 즐기고 있다. 2017.1.31 평양 조선신보/연합뉴스
북한은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을 거치며 주민들에게 ‘단정한 외양’을 강조하는 등 도덕적 기풍 확립에 신경을 써왔다.

더욱이 시장경제 시스템의 일부 도입으로 외부 문물이 지속해서 유입됨에 따라 청소년과 주민들에게 단정한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을 주문하면서 이완 현상을 막고 내부 기강 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