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근의 남북통신]北 주민들, 불확실한 미래에 ‘미신’ 맹신

[문경근의 남북통신]北 주민들, 불확실한 미래에 ‘미신’ 맹신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6-06-22 17:59
업데이트 2016-06-22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종로3가 지하상가 안에 새로 문을 연 ‘지하철 점집’ 서울신문DB
종로3가 지하상가 안에 새로 문을 연 ‘지하철 점집’ 서울신문DB
북한 김씨 왕조와 당의 방침에 무조건적인 충성을 보여온 북한 주민들도 최근 불확실한 북한 체제에 회의감을 품고 점을 보려는 시도가 끊이질 않는다고 합니다. 과거에도 승진과 군에 입대하는 자식들의 무사귀환을 위해 점집을 찾던 간부들이 간혹 있었지만, 요즘에는 일반 주민들까지 당국의 단속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틈나는 대로 점집을 찾는 덕에 무당들도 때아닌 호황을 맞았다고 합니다.

최근 북한 사회 전반에 미신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한 대북소식통은 “김정은 정권에 위구심을 느낀 주민들이 앞으로 북한이 어떻게 될지 불안해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올 초 함경북도 청진시에는 도당 간부가 수북동에 사는 무당에게 300달러를 주고 점을 본 사실이 드러나 철직, 추방을 당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2012년 김정은 집권 후 당의 주요 간부들에 대한 처형이 잦아지면서 뇌물을 바치더라도 당 간부에 등용하려는 종전의 분위기가 많이 바뀐 상태라고 합니다. 거기에 더해 올 3월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가 시작되면서 국경을 비롯한 지방 도시에도 체제에 대한 불안감이 팽배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래서 간부들은 초조함을 달래기 위해 점집을 찾는다고 합니다. 물론 무당들도 공식적으로 굿판을 벌이거나 점집을 운영하지 않지만 아름아름 집에서 또는 출장 서비스를 통해 해몽, 신점, 사주풀이, 운세 등 다양하게 앞날을 예측해 준다고 합니다.

북한은 종교의 자유가 없고, 종교나 미신을 사회의 ‘아편’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일반주민들이 무당을 찾아갔다 적발될 경우 엄한 처벌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간부들을 자신의 단골 점집을 만들어 놓고 무당들의 뒷배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한 탈북자는 “간부들은 유명한 점집에 대해 미리 알아보고 가족을 보내 시간 약속을 잡는다”라며 “점쟁이들은 새벽 12시부터 3시까지가 점을 보기에 적합한 시간이라고 말한다. 새벽에는 맑은 공기가 감돌면서 온종일 어지럽던 머리가 깨끗이 정화되어 앞날에 대한 암시가 잘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무당들 중에 ‘용’하다고 소문난 경우 화대(대가로 지불하는 돈)는 ‘부르는 게 값’이라고 합니다.

북한 내에서도 농촌과 시골 등지의 가난한 주민들은 하루 벌어 하루를 살아야 하니, 앞으로를 걱정하는 것 자체가 ‘사치’ 생각해 미신에 대해 관심이 없는 부류도 있습니다. 반면 당 간부들은 자신들이 누리는 특권을 유지하려고 미신에 매달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신을 목숨처럼 여기고 의지하는 당 간부들은 무당의 말에 무엇이든 한다고 합니다. 2011년 황해북도 해주의 한 도당 간부는 “승진하기 위해서는 지금 살고 있는 마을에 우물을 메워야 한다”는 무당의 말에 무리하게 새 우물을 파고 옛 우물을 메우려고 하다가 주민들의 집단저항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현직에서 조차 물러나야 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공개적으로 주민들에게 “미신을 믿지 말고 노동당을 믿으라”고 선전하고 있지만 앞날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점집을 찾는 간부들과 주민들의 발길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