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꼭 숨은’ 北 황해도 자주포

‘꼭꼭 숨은’ 北 황해도 자주포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5-08-03 00:10
업데이트 2015-08-03 0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쪽 갱도 입구 막고 북으로 옮겨… 한·미 연합군 갱도 포격에 대비

북한이 그동안 남쪽으로 향해 있던 170㎜ 자주포 갱도 입구를 봉쇄하고 북쪽에 새로 입구를 마련해 우리 군이 유사시 갱도를 무력화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미 연합군의 자주포 갱도 포격에 대비한 것으로 자주포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 소식통은 2일 “황해도에 있는 4군단 예하 포병부대 등의 자주포 갱도 모양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포병 전력과 미사일로 손쉬운 파괴가 가능했던 남쪽 방향 자주포 갱도 입구를 봉쇄하고 북쪽 방향으로 새로운 입구를 만들어 자주포를 무력화하기가 더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한·미 연합군이 유사시 북한군 자주포를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항공기로 레이저 유도 폭탄인 ‘벙커 버스터’(GBU-28)나 합동정밀직격탄(JDAM)을 투하해 갱도를 파괴하거나 무인폭격기를 동원해 북쪽에서 갱도 입구를 파괴해야 한다. 하지만 항공기나 무인폭격기가 자주포 갱도까지 접근하려면 지상에 밀집한 대공포와 지대공미사일 등의 위협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교도통신은 이날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개보수 작업이 끝난 발사대에 덮개가 설치되고 있다고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덮개 공사는 8월 중 완료될 것으로 추정됐다.

북한은 최근 이곳에 67m 규모의 대형 장거리미사일 발사대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발사대에 이어 덮개 작업까지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는 10월 10일 노동당 창건일 전후로 장거리미사일을 쏠 것이라는 관측에 더 무게가 실린다. 정보 당국은 북한이 정찰 위성을 이용한 감시를 피하기 위해 덮개 설치 작업을 하는 것으로 보고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08-03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