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호, 북핵실험 엉뚱한 곳 촬영”

“아리랑 3호, 북핵실험 엉뚱한 곳 촬영”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원 좌표 현장 10㎞ 이탈” 박홍근 의원, 자료분석 주장

한반도 정밀관측 위성인 아리랑 3호가 지난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핵실험 장소가 아닌 엉뚱한 곳을 촬영하는 등 대북감시 능력에 한계를 드러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박홍근 민주통합당 의원은 18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의 ‘우주발사 위성의 2013년 2월 12일 북한 핵실험 영상 촬영’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오전 11시 57분) 직후인 오후 1시 27분 아리랑 3호는 국가정보원이 알려준 좌표를 촬영하긴 했지만 이 좌표는 실제 핵실험 장소와 거리가 멀어 촬영 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자료를 보면 항우연은 핵실험이 있기 전부터 핵실험 예상지역에 대한 국정원의 촬영협조 요청을 받고 감시태세를 취했지만 핵실험 당일에야 실제 핵실험 장소가 국정원이 이전에 촬영을 지시한 지점과는 다른 것을 확인했다.

항우연은 기상청이 알려온 인공지진 진앙지(실제 핵실험 장소)가 애초 국정원이 지정한 곳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는 급히 촬영좌표 수정명령을 입력했으나 시간관계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포기하고 원래 감시하던 위치를 촬영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국정원이 통보해 준 장소는 실제 핵실험 장소와 10.08㎞ 떨어진 곳이다. 이는 아리랑 3호의 촬영범위인 반경 8.5㎞를 벗어났다. 이를 고려하면 영상에는 실제 핵실험 장소가 제외된 엉뚱한 곳이 촬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애초 ‘촬영에는 성공했으나 구름이 많아 식별이 불가능하다’던 항우연의 입장과는 다른 것”이라면서 “북한의 핵실험에 이은 잇따른 무력도발 위협으로 국민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보 당국의 대북 감시 능력에 심각한 결함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항우연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정확한 좌표가 아니라도 당시 핵실험장 근처 전지역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정돼 있던 상태로 실제 촬영도 했다”며 “구름 때문에 식별하기 힘든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2-19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