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외화난 ‘허덕’…결국 비자금 조직 재분리

北, 외화난 ‘허덕’…결국 비자금 조직 재분리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1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부가 14일 공개한 2011년판 북한 권력기구도 및 주요인물,인명집은 경제난 속에 3대 세습 후계체제를 확립 중인 북한의 여러가지 변화상을 담아 시선을 끌었다.

 가장 눈길을 끈 대목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동당 38호실과 39호실이 합쳐졌다가 다시 분리된 것이다.이는 국제적 대북제재 국면에서 외화난을 타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또 평양시 면적이 절반 넘게 줄어든 반면 남포시가 커지고,김정은 후계체제 등장에 맞춰 선전선동 강화를 위해 영화부도 신설된 것으로 전해졌다.

 ●38호실·39호실 다시 분리

 14일 통일부 당국자에 따르면 39호실과 합쳐졌던 38호실이 지난해 분리돼 나왔다.

 39호실은 김 위원장의 고교 동창인 전일춘이 실장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38호실은 아직 실장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2008년 합쳐진 38호실과 39호실이 1년 안팎이라는 짧은 기간에 다시 갈라진 것은 지난해 미국 행정부가 39호실을 제재대상에 추가하는 등 대북제재를 강화함에 따라 김 위원장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부서를 나눠 운신의 폭을 넓히려는 조치로 보인다.

 38호실은 호텔운영과 무역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며,39호실은 마약이나 무기,특산품 거래 등으로 외화를 벌면서 북한의 주요 금융기관과 ‘노른자위’ 공장 및 기업소 1백여곳을 직접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양 면적 확 줄고 남포는 커져

 조선중앙연감 2009년판과 2010년판을 비교하면 평양시 남쪽 외곽이 시에서 제외돼 평양시 면적이 절반 넘게 줄었다.

 평양은 북한의 수도이고 외국인이 드나들어 시민 관리도 엄격하고 명절용 배급에 있어서도 ‘마지노선’일 만큼 특별관리되는 곳인데 재정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시 규모를 줄인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평양은 드나드는 차량과 인원을 사전에 통보해야 할 정도로 엄격히 관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양시 면적은 원래 2천600여㎢였다가 1천100㎢ 정도로 줄어 40%가 조금 넘는 지역만 남은 것으로 알려졌으며,외곽 지역이 빠지면서 시 인구도 300만명에서 250만명 선으로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해 남포는 특별시로 바뀌면서 위상에 걸맞게 주변 지역을 편입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2004년 1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직할시였던 남포시를 특급시로,남포시 내 강서구역·천리마구역·대안구역을 군으로 바꿨는데 이 군들을 특별시로 바뀐 남포시에 되돌린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행정구역 체계는 평양직할시와 라선특별시,9개 도에서 남포특별시가 추가돼 ‘1직할시·2특별시·9개도’가 됐다.

 지난해 10월 북한의 시도당 책임비서가 단체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 남포시당 책임비서도 포함된 사례 등에서도 남포시의 달라진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김정은 후계 안착 위해 ‘영화부’ 신설

 북한은 당 중앙위원회 산하 전문부서에 영화부를 새로 만든 것으로 알려져 김정은 후계체제의 안착을 위한 선전선동 강화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6월 강능수 내각 부총리 임명을 전하는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보면 강능수가 2010년 초부터 당시까지 영화부장을 맡았다고 소개돼 영화부의 신설을 짐작케 한다.

 북한에서는 문화예술이 주민들에게 당의 정책을 교육하는 데 중요한 수단인데 김정은의 등장과 함께 당의 역할이 강조되고 김정은 우상화 작업이 전방위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부 신설 배경을 추정할 수 있다.

 김정은 선전가(歌)로 알려진 ‘발걸음’을 비롯해 경희극 ‘산울림’을 내세우고 국립연극극장을 새로 짓는 등의 일련의 움직임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