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러도 반발… 北 국제고립 자충수”

“中·러도 반발… 北 국제고립 자충수”

입력 2010-07-27 00:00
업데이트 2010-07-27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의 고위 외교소식통은 25일(현지시간) 최근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북한의 3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강한 반발을 초래, 오히려 국제적인 고립만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진단했다. 북한이 동해에서 시작된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관련, “보복성전을 개시하고 핵억지력을 증강할 것”이라고 밝히자 일각에서는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추가 발사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선신보 “필요땐 핵실험 단행”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6일 “(북한의 보복성전이) 말로만 엄포를 놓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3차 핵실험을 실시할 수도 있음을 강조했다.

조선신보는 ‘미국의 양면술, 귀결은 핵억제력 강화’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조선은 핵실험을 핵억제력 확보의 필수적인 공정상 요구로 간주하고 있고 과거에도 시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주저없이 단행했다.”는 논리를 폈다.

이 외교소식통은 한국특파원들과 만나 6자 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비핵화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면서 “아직은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들이 이에 해당하는지 논의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또 “이에 앞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북한이 성의를 보여야 한다.”면서 “하지만 북한의 천안함 사건에 대한 사과가 반드시 6자회담 재개의 전제 조건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북한의 사과를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공식화할 경우 한국과 미국의 외교적 부담이 고려된 듯싶다.

●리처드슨 대북특사설 일축

이 외교소식통은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의 대북특사설에 대해 “리처드슨 주지사는 (평양에) 가고 싶어하지만 우리가 못 가게 한다.”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나아가 미국이 북한 관련 계좌 200여개 가운데 불법행위와 관련된 혐의가 있는 100여개를 추려 제3국 금융기관들에 통보, 자체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 내용에 대해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로버트 아인혼 미 국무부 비확산 및 군축담당 특별보좌관이 2주일 전 유럽 국가들을 방문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북한 문제가 아니라 이란에 대한 제재안을 최종 조율하기 위한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란에 대한 제4차 제재결의가 채택된 뒤 미국은 지난 1일부터 새로운 이란 제재를 시행하고 있지만 유럽연합(EU)은 26일 브뤼셀에서 외무장관회담을 갖고 이란에 대한 제재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 외교소식통은 “북한 관련 계좌는 대부분 중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에 집중돼 있고, 중동에 일부 개설돼 있다.”면서 “유럽은 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대북 금융제재에 대한 중국의 협조 여부와 관련, 지난해 유엔 대북 결의 1874호가 채택된 뒤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과 협력방안을 집중 논의한 적이 있으며, 대량살상무기가 탑재된 것으로 의심되는 강남호에 대한 조치 때 중국의 협조가 있었다고 전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07-2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