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첫 잠수함 34년 임무 마무리
초대함장·현 함장 함께하며 의미 더해
후속 건조 사업 이름으로 계승 이어가
대한민국 1번 잠수함 장보고함이 19일 마지막 항해를 위해 경남 진해군항을 출항하고 있다. 2025.11.19 해군 제공
34년간 우리 바다를 지켜 온 해군 1번 잠수함 장보고함(SS-I, 1200t급)이 올해 말 퇴역을 앞두고 19일 마지막 항해를 끝냈다. 우리 해군이 독일에서 처음 인수한 1992년부터 이날까지 지구 둘레(약 4만㎞)의 15배가 넘는 약 34만 2000마일(약 63만 3000㎞)에 달하는 대장정의 마침표였다.
장보고함은 이날 경남 진해군항에서 출항해 약 2시간의 마지막 항해를 마치고 다시 입항했다. 장보고함이 부두에 홋줄을 걸고 입항 방송을 하자 진해군항에 정박 중이던 모든 잠수함이 기적을 울리며 ‘큰형님’의 마지막 항해를 축하했다.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보고함의 첫 항해를 맡았던 안병구 초대 함장(해군 예비역 준장)과 마지막 항해를 이끈 이제권 함장(해군 소령)이 함께하며 의미를 더했다. 해군은 첫 항해를 담당했던 인수요원들이 마지막 장보고함 승조 장병들과 함께 작별을 고하게 함으로써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해군의 역사를 되새겼다.
장보고함은 이전까지 미지의 영역이던 바닷속을 처음으로 우리 해군의 작전 영역으로 만든 상징적인 존재다. 1988년 8월 독일에서 건조를 시작해 1991년 9월 진수식을 마쳤고 이듬해 8월 부대가 창설돼 10월에 독일에서 인수했다. 해군은 통일신라 시대 바다를 지킨 장보고 대사의 이름을 따 첫 잠수함의 이름을 장보고함으로 지었다. 함정 번호로는 SS-061을 부여받았다.
19일 경남 진해 해군기지에서 해군 1번 잠수함 장보고함의 마지막 항해를 앞두고 장보고함 내부에 들어선 안병구(오른쪽) 초대함장이 이제권 장보고함장에게 당시 일화를 설명하고 있다. 2025.11.19 해군 제공
장보고함은 한번 출항하면 한 달 이상 깊고 푸른 바닷속에서 실전 같은 훈련을 반복해왔다. 1997년 하와이 파견으로 1만 마일 단독 항해에 성공했고 2011년 안전 항해 20만 마일, 2019년 안전 항해 30만 마일을 돌파했다. 잠수함이 할 수 있는 주요 해외 훈련에는 모두 참가한 베테랑이기도 하다. 특히 2004년 환태평양훈련(RIMPAC)에서는 미국 항공모함을 포함한 함정 30여척을 모의 공격하는 동안 단 한 번도 탐지되지 않으며 우리 해군의 우수한 잠수함 운용능력을 전 세계에 알리기도 했다.
영원한 현역일 것 같았던 장보고함은 2023년까지 작전임무를 수행하다 2024년에 훈련함으로 전환됐다. 이후 잠수함승조원 교육훈련, 수리함정 팀워크 훈련, 잠수함승조원 자격 유지를 위한 훈련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잠수함승조원의 전비태세 유지에 기여해왔다.
19일 마지막 항해 임무를 마친 장보고함 승조원들과 안병구 초대함장을 비롯한 당시 인수요원들이 경남 진해 해군기지에서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025.11.19 해군 제공
비록 장보고함은 물러나지만 해군의 잠수함 사업을 통해 이름과 정신은 계승된다. 지난달 진수식을 마친 장영실함이 장보고-III 배치(Batch)-II의 선도함이다.
안 전 함장은 “‘해양의 개척자’ 장보고함의 처음과 마지막 항해를 함께해 영광이었다”며 “90년대 초 독일에서 잠수함을 도입하고 운용 기술을 배워 왔던 우리 해군이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디젤 잠수함 운용국으로 눈부시게 발전한 모습을 보며 가슴 벅찬 자부심을 느낀다”는 소감을 전했다.
이 함장은 “장보고함은 잠수함 부대의 꿈이자 도전의 상징이었다”면서 “앞으로도 장보고함의 개척 정신을 이어받아 가장 깊은 곳에서, 가장 은밀하게, 가장 강력한 무기로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는 침묵의 수호자로서 주어진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해군은 장보고함이 퇴역하면 향후 방산수출·협력 방면에 활용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전자레인지에 남은 생선 돌리면 안 되는 이유…꼭 먹어야 한다면 ‘이것’ 함께 [라이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20/SSC_20251120171736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