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발굴돼 美 거쳐 70년 만에… 6·25 영웅 7명 고국서 잠들다

北 발굴돼 美 거쳐 70년 만에… 6·25 영웅 7명 고국서 잠들다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7-29 20:44
업데이트 2020-07-30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대영 이등중사 등 대전현충원 안장
1950년 12월 장진호 전투서 전사 추정

이미지 확대
29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6·25 전사자 봉환 유해 합동 안장식에서 영현이 봉송되고 있다. 북한에서 발굴된 뒤 미국을 거쳐 70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온 6·25전쟁 전사자 7명이 이날 안장됐다. 연합뉴스
29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6·25 전사자 봉환 유해 합동 안장식에서 영현이 봉송되고 있다. 북한에서 발굴된 뒤 미국을 거쳐 70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온 6·25전쟁 전사자 7명이 이날 안장됐다.
연합뉴스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을 거쳐 70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온 오대영 이등중사 등 6·25전쟁 국군전사자 7명의 유해가 국립대전현충원에 묻혔다.

육군은 29일 대전현충원에서 서욱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6·25 전사자 봉환 유해 합동 안장식’을 진행했다.

이날 대전현충원에 잠든 국군전사자는 오 이등중사와 박진실 일병, 최재익 일병, 정재술 일병, 하진호 일병, 김정용 일병, 김동성 일병 등 7명이다. 육군야전재무대와 미7사단 소속이었던 이들은 치열한 접전이 벌어진 장진호 전투에서 1950년 12월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7구의 유해는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북한에서 발굴된 뒤 미국으로 보내져 한미 공동 감식을 통해 최종 신원이 확인됐다. 정부는 올해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과 유해 송환을 협의했다. 지난달 24일 하와이에서 공군 공중급유기를 타고 고국으로 돌아왔다.

김정용 일병의 여동생 김민자(84)씨는 “오빠의 전사 소식 이후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오빠의 편지가 집에 도착했는데 부모님께서 대성통곡하셨다”면서 “어머니께서는 생전 ‘아들이 죽었는데 내가 호사를 누릴 수 없다’며 평생 아픈 마음을 안고 살아가셨다”고 전했다.

이날 안장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를 시작으로 고인에 대한 경례, 조사, 헌화 및 분향, 조총 및 묵념, 영현 봉송 순으로 진행됐다. 서 총장은 조사에서 “일곱 분의 호국영웅께서는 국가의 부름에 응하셨고 자유와 평화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셨다”며 “대한민국과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이분들이 계셨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20-07-3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