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주 1기 진실화해위 유해발굴단장
박선주 1기 진실화해위 유해발굴단장
박선주(73)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는 2005년 출범한 1기 진실화해위원회 유해발굴단장을 맡아 거창양민 학살사건, 보도연맹 학살사건 등 전쟁 당시 벌어진 민간인 학살사건 현장들을 두 발로 직접 다니며 희생자들의 유해를 수습했다. 위원회가 공식적으로 활동을 종료한 2010년 이후에도 재능기부나 지방자치단체 의뢰로 10여 차례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여전히 규명되지 않은 민간인 학살사건이 더 많다. 박 교수는 “1기 진실화해위 당시 전국 유족들로부터 민간인 학살 신고를 받아 30개 정도의 집단 희생지를 추렸다. 그러나 위원회 활동 기간 동안 발굴 조사를 진행한 지역은 11개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위원회가 종료된 2010년 시민단체들이 모여 공동조사단을 만들고, 8차례에 걸쳐 자체적으로 유해 발굴이 진행됐다. 이후 충남 홍성, 아산 등 일부 기초단체들도 유해 발굴에 동참했다. 지난해에는 광역단체로는 처음으로 충북도가 관련 예산을 편성했다. 박 교수는 “아산 설화산 인근에서는 208명분의 유해가 쏟아졌고, 이 중 58명 정도는 12살 미만의 아이들, 나머지의 80% 이상도 부녀자들이었다”면서 “1·4 후퇴 때 부역혐의자 가족들에게 ‘도민증을 준다’며 산으로 불러 처형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행스럽게도 지난달 국회가 ‘제2기 진실화해법’을 통과시키면서 아직 규명되지 않은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한 중앙정부 조사가 10년 만에 재개된다. 박 교수는 “2기 진실화해위가 출범하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유해 발굴이 진행될 것”이라면서 “이후 대전 산내 곤룡골 지역에 국립 위령 시설로 조성될 ‘진실과 화해의 숲’에 유해들이 안치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민간인 학살사건의 규명을 위한 유해 발굴에 대해 “땅속에 묻혀 있던 진실을 지상으로 끄집어내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유해 발굴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면서 “구천을 떠돈 희생자들의 한을 풀어 주고 유족들의 명예를 회복해 산 자나 죽은 자나 ‘정상적인 삶’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노력이 앞으로도 계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진선민 기자 jsm@seoul.co.kr
2020-06-25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