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길 걸을 후배 여군조종사들 생각에 고충 이겨냈죠”

“같은 길 걸을 후배 여군조종사들 생각에 고충 이겨냈죠”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2-29 21:22
업데이트 2019-12-30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군 최초 P3 조종사 이주연 소령

이미지 확대
해군 최초 P3 해상초계기 교관조종사로 활동 중인 이주연 소령이 P3 앞에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 최초 P3 해상초계기 교관조종사로 활동 중인 이주연 소령이 P3 앞에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해군 제공
교관조종사 양성과정서 능력 우수 평가
한 번에 6시간씩 비행… 육체적 피로 커
후배들 길잡이 되고 있다는 자부심 느껴


“최초라는 수식어는 내가 후배들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는 자부심을 줍니다. 반대로 모범이 돼야 한다는 부담감과 책임감도 있습니다.”

여군 최초로 해군 P3 해상초계기 교관조종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주연(34) 소령은 2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최초’라는 말이 가진 의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 소령은 지난 2월 해군 여군으로는 최초로 P3 교관조종사로 임명돼 후배 조종사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생을 대상으로 조종사 자격에 필요한 항공기 시스템과 비행 이론, 비행 실습을 교육하면서 조종사를 길러내고 있다.

교관조종사는 일반조종사보다 뛰어난 비행능력이 요구된다. 항공 전문지식과 항공기 조종능력, 비상상황 대처능력이 필수다. 이 소령은 교관조종사 양성과정에서 이러한 능력이 우수하다고 평가받아 여군 최초 교관조종사에 합격했다.

P3 조종은 남자 조종사들에게도 힘든 임무다. 한번 출동하면 평균 6시간, 최대 10시간의 장시간 비행을 한다. 또 저고도에서 바다와 가깝게 비행하는 것도 쉽지 않다. 비상상황에서 대처시간이 부족한 저고도 비행은 조종사에게 상당한 부담이 따른다. 한번 비행을 마치면 육체적·정신적 피로도가 크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의 고충도 이 소령에게 예외는 아니다. 이 소령은 “저 또한 임무와 육아를 병행하면서 적절한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 지칠 때가 많다”며 “무엇보다도 많은 시간을 아이와 함께 보내지 못해 미안함이 크다”고 토로했다. 해군에서 제공하는 ‘자녀돌봄 휴가’ 등을 사용해 틈틈이 아이와 시간을 보내며 그나마 미안함을 덜어 준다고 한다.

그럼에도 지친 기색을 보이지 않는 이유는 후배들이 자신을 보고 배우기 때문이다. 특히 P3 조종사에 후배 여군 2명이 함께 근무하는 만큼 자부심으로 고충을 이겨내고 있다. 교육 과정에서 포기하고 싶었던 순간도 많았지만, 같은 길을 따르려는 여군 후배 조종사들을 생각하면 멈출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가 이처럼 힘든 P3 조종사를 선택한 이유는 ‘팀워크’가 돋보였기 때문이다. 이 소령은 “P3는 10명의 승무원이 함께 근무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소통해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왔다”고 말했다.

P3는 군이 가진 잠수함 탐지의 핵심 전력인 만큼 교관조종사로서의 책임감도 막중하다. 그는 “교육생마다 항공기 지식수준과 능력, 개인 성향에서 차이가 있어 그에 적합한 지도와 조언을 해 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2-30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