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스톡홀름에서의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을 의도적으로 파기했으며 이는 북미정상회담을 유도하려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사진은 지난 5일 실무협상을 마치고 모스크바를 거쳐 중국 베이징 공항에 모습을 드러낸 김명길 북측 대표가 취재진의 질문 공세를 받는 모습.
베이징 연합뉴스
베이징 연합뉴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정책조정관은 “북한이 실무협상을 결렬시키는 강수를 두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정상회담에 나서라는 압박을 하려고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유예라는 외교적 성과를 얻었기 때문에 당장 김 위원장을 만나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7일 전했다. 그는 또 애당초 미국과 북한은 비핵화 개념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며 이틀 전 실무협상에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전혀 놀랍지 않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이어 “북한이 (강경기조와는 달리) 대륙간탄도미사일이나 핵실험 등으로 미국을 위협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을 해치는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크 피츠패트릭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미국이 북한의 위협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양측이 대화의 문을 열어 놓고 비핵화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연말까지 미국의 행동 변화가 없을 경우 핵과 미사일 발사 유예 등을 중단할 수 있다고 암시한 북한의 발언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개발 등으로 인한 대미 위협이 오히려 미국의 대북 최대 압박 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는 이어 “북한이 대화의 문을 닫으려 한다면 안타까운 일”이라며 “미국도 북한이 원하는 방식으로 지도자 간의 서신교환 방식으로 대화를 해나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